ART insight

아트인사이트에게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칼럼·에세이

 

 

[크기변환][포맷변환]플로우_수정.jpg

 

 

문명의 흔적만이 남은 세상에서 동물들은 살아남기 위해 달리고, 웅크리고, 기어오른다.

 

검은 고양이가 주인공인 애니메이션 <플로우>는 홍수로 인해 익숙한 터전을 떠나야 하는 동물들의 여정을 따라간다. 영화는 실제 동물들의 소리와 움직임을 바탕으로, 최소한의 의인화로 그들의 서사를 전한다.

 

영화 초반, 검은 고양이는 추격을 피해 달리고, 살기 위해 물속을 가르며 헤엄친다. 그 긴박함 속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그를 응원하게 된다. 그리고 점차 다른 동물들과의 관계를 맺고, 마음을 여는 모습을 보며 뭉클해진다.

 

홍수는 익숙한 곳을 쓸어가고, 동물들은 휩쓸리듯 살아간다. 하지만 검은 고양이는 그 흐름 속에서도 자기만의 의미를 찾아 나간다.

 


[크기변환][포맷변환]NISI20250213_0001769377.jpg

 



서로 생긴 모습은 달라도 우리는 모두 친구?


 

당연하게도 카피바라, 검은 고양이, 여우원숭이, 골든 리트리버, 뱀잡이수리가 함께 조화롭게 지낸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경계하고, 다투고, 서로 다른 행동 양식과 습성 때문에 사사건건 부딪친다.

 

유리병을 비롯한 반짝이는 인간의 물건을 모으는 여우원숭이는 물건이 깨질까 봐 늘 노심초사하고, 고양이는 자기 영역을 마구 넘나드는 여우원숭이의 꼬리가 성가시다. 골든 리트리버는 모두가 자신과 놀아주길 바라지만, 뱀잡이수리는 계속 뭔가를 던져주는 게 귀찮다. 거의 모든 존재가 서로를 껄끄러워하는 상황 속에서, 카피바라는 특유의 중후한 목소리로 상황을 중재한다. 가끔은 갑자기 드러누워 잠들기도 하는 카피바라는 은근하지만 확실한 존재감으로 생존의 여정 속 균형을 맞춘다.

 

말 그대로 한배를 탄 다섯 동물은 결코 서로 닮을 수 없다. 하지만 여러 번 함께 죽을 고비를 넘기며, 서로의 다름을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의 자리가 생긴다. 서로 다르다는 걸 알면서도, 함께 있기로 선택한다.

 

휩쓸리듯이 살아가지만, 혹은 휩쓸리듯 살아가기 때문에, 동물들은 유대감이 필요하다. 나와 닮은 같은 종이건, 그렇지 않건.

 


[크기변환][포맷변환]플로우 사진.jpg

 

 

 

신화와 현실 사이 순환의 흐름


 

검은 고양이는 영화의 시작부터 끝까지, 몇 번이나 물에 빠져 죽을 고비를 넘긴다. 갑작스레 들이닥친 홍수를 피하다가, 잠수한 채 물 위로 올라올 타이밍을 놓치다가.

 

그 위기의 순간마다 고양이를 구해주는 존재는 고래와 닮은, 고생대에 살았을 것만 같은 거대한 해양 생명체다. 경이로움과 두려움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이 생명체는 물의 생명력 그 자체처럼 묘사된다. 작은 움직임만으로도 고양이를 구하거나, 동물들이 탄 배를 크게 뒤흔들 수 있다.

 

이 묘하고 신화적인 존재는 영화 후반부,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다시 등장한다. 끊임없이 변하는 세상에서 육지 동물이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은 해양 생물에게 위협이 되기도 한다. 검은 고양이는 자신을 구해준 해양 생물이 물 밖에서 가쁜 숨을 내쉬며 죽어가자, 몸을 부비며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거대 생명체의 신화적인 위용은 어느새 가파르게 숨을 쉬는 모습과 함께 흐려진다.


영화가 시작될 무렵, 검은 고양이가 살던 곳엔 거대한 고양이 조각상이 있다. 러시모어 산의 돌조각보다 훨씬 거대해서, 한 사람이 만들었다고는 상상할 수 없다. 그 외에도 작은 고양이 조각상들이 폐허가 된 공간 이곳저곳에 흩어져 있다. 고대 이집트처럼 고양이를 숭배하던 문명이 있었던 것인지 수수께끼를 남긴다.


뱀잡이수리의 기묘한 행방과 미지의 해양 생명체, 그리고 하늘 높이 뻗은 거대하고 정체를 알 수 없는 돌탑들은 관객에게 해석의 가능성을 남긴다. 동물들이 거쳐 간 장소는 인간의 터전이었을까, 아니면 인간이 아닌 또 다른 생명체의 것이었을까. 문명의 흔적을 보고 바로 인간의 흔적이라고 여기는 추측도 어쩌면 섣부른 것일지 모른다.


신화적 상상력과 실제 동물의 습성이 정교하게 얽힌 <플로우>는 한 시대가 저물고, 다른 시대가 시작되는 경계에서 삶과 죽음의 교차를 이야기한다. 삶과 죽음은 휩쓸리듯이 정해진다. 동물들은 그저 떠돌 수밖에 없다.

 

인간들의 세상, 해양 생명체의 세상, 그리고 그다음에 어떤 세상이 펼쳐질지 아무도 알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휩쓸리듯이 살아가더라도,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서로를 돕기 위해 손을 내민다.

 

 

 

안소정.jpg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