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sight

아트인사이트에게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칼럼·에세이

 

 

처음으로 독립서점에서 책을 사보았다. 얼마 전에 떠났던 가족여행을 하던 중, 경주에 위치해있던 작은 책방에 들렀다가 마침 읽고 싶었던 책이 있었기에 한 권 구매하게 된 것이다.

 

 

 

경주, 라벤더


 

내가 갔던 독립서점의 이름은 '북샵 라벤더'이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반갑게 맞이해주시는 서점 주인분과 시선을 빼았는 책들을 볼 수 있다. 한 눈에 들어오는 것 같으면서도 서점의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 책들을 시선으로 쫓다 보면 눈길을 빼았는 책이 여러 권 있다.

 

반가운 책도 있고, 온라인 상으로 접해봤던 책도 있고, 실제로 집에 있는 책도 있었지만 그 중에 내 손에 선택된 책은 사계절이라는 출판사에서 나온 김소영 작가의 '어린이라는 세계'라는 에세이였다. 그 근처에 김소영 작가의 다른 책도 있었는데 내가 알고 있던 책은 '어린이라는 세계'뿐이었던 데다가 그 책의 표지에 적힌 글을 보니 해당 책이 내가 선택한 책보다 이후에 나온 책이었기 때문에 나는 '어린이라는 세계'라는 제목을 가진 책을 골랐다.

 

책을 한 권 구매하니 책 안에 예쁜 도장도 찍고, 귀여운 고양이 엽서도 받을 수 있었다. 처음 독립서점을 들렀던 것이었다보니(부모님께서 말씀해주시길 어릴 적에 가본 적이 있다고 하시긴 하는데 너무 어릴 적이라 사실 가보지 않은 것이나 다름없는 상황이다) 이게 독립서점을 들러보는 맛인지 북샵 라벤더만의 맛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작은 서점에서만 느낄 수 있는 듯한 색다른 기분을 음미하며 나와서 읽을 시간을 고대하면서 가방에 넣었다. 더 기대했던 이유로는 내가 사전에 읽고 싶다고 생각했었던 것 뿐만 아니라 언젠가 사야지 하고 서점의 온라인 장바구니에 담아두었었기 때문이다. 그 책을 직접 눈으로 본 순간 얼마나 반갑던지! 다른 재미있어 보이는 책들도 많았지만 실은 이 책이 자길 데려가라고 나를 잡고 있는 것처럼 계속 눈에 밟혀서 데려온 것도 있었다. 이번 기회에 사지 않는다면 또 오랜 시간 고민할 것 같아서. 발견했던 그 장소에서 사지 않은 걸 후회할 것 같아서 말이다.

 

아늑하면서도 깔끔하게 정리된 서점을 보면서 이런 서점이 집 근처에 있었다면 방앗간에 참새가 들르듯이 자주 들렀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첫 독립서점 방문이라 집 근처에 어떤 서점이 있는지도 잘 모르겠으나 독립서점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장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어쩌면 앞으로는 다양한 독립서점을 들르는 나를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어린이라는 세계


 

131.jpg


 

사실 이 책을 언제부터 읽고 싶어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장바구니에 주문하지는 않았지만 구매할까 고민 중인 책이 거의 70권쯤 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서점에서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고, 구매해서 읽어보았다.

 

책의 첫 장을 넘기기 전, 책을 돌려서 뒷표지에 적혀 있는 글을 읽어보았다. 해당 글들은 내가 이 책을 읽고 싶어하는 마음이 더 커지게 만들었고, 과연 어떤 질문을 던지고 하게 될지를 궁금하게 만들었다. 적혀있는 글을 읽으면서 생각해본 다음, 다시 앞으로 돌려서 첫 장을 폈다.

 

책을 읽으면서는 '어린이' 때의 기억을 돌아볼 수 있었다. 내 첫 기억이 3살 때인데, 유치원 시절의 기억들이 꽤 많이 남아있다. 부모님께 이런 기억이 있는데 몇 살 때냐고 물어보거나 어떤 상황이었는지 등의 질문을 했을 때 그걸 기억하냐고 하실 정도로 말이다.

 

그리고 별 생각이 없었던 점들에 대해서 또 다른 시선을 던져볼 수 있었다. 전혀 생각해보지 못했던 방향으로 생각하고 고민하는 작가님의 자세를 통하여 책을 읽는 나도 새로운 시선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책을 읽기 전까지는 딱히 문제가 없는 용어라거나 크게 생각해보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해서 말이다.

 

 

 

어린이한테 배운다


 

우리는 '어린이'라고 하면 무언가를 배워나가는 미숙한 존재라고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나는 그것이 '어리다'라는 단어에서 오는 편견이라고 생각한다. 꼭 어린이가 아니더라도 일부 나이가 있는 사람들은 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들의 말을 듣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런 사람들은 '나보다 어린 사람'에게는 배울 것이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사회에서 나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이 내 말을 듣고 의견을 참고해줬으면 하면서 왜 우리는 어린이의 말은 잘 들어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또한 같은 질문을 들었을 때나 같은 그림을 봤을 때 생각하는 게 이제 어른이 된 나와 어린이는 다르다. 생각해보면 어린이에게서 나오는 말들이 그렇게 창의적일 수가 없다. 분명 동일한 상황을 인지하였음에도 전혀 생각해보지도 못한 것들을 내놓는 것이다. 왜 그럴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니 우리가 커오는 동안 무언가를 배우면서 무의식적으로 창의적으로 사고를 할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드는 것인 것 같았다. 학습한 것들이나 상상을 토대로 상황을 판단하고 답을 내놓을 텐데 그 기본이 되는 지식들이 무의식적으로 사고의 한계를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나는 '어린이가 어른에게 배운다'라는 문장과 '어른이 어린이에게 배운다'라는 문장 모두 이상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해보지 못했던 부분이나 몰랐던 부분을 '배운다'는 그 자체가 중요한 거지 누군가에게 배운다는 것이 중요한가?

 

실제로 나는 어린이들의 놀라운 창의력을 직접 마주한 적이 있다. 당시에 소원 나무를 만들어 갔었는데 나뭇잎에 각자의 소원을 적어서 빈 나뭇가지에 붙일 수 있도록 만들었었다. 그렇게 활동을 하러 가서 어린이들에게 이게 뭐 같냐고 물어보자 나뭇잎 같다는 대답이 아닌 다양한 색의 비가 내리는 것 같다는 답이 돌아왔다. 그래서 나도 맞다면서 어느 색깔의 빗방울에 소원을 적고 싶냐고 말해주었다. 솔직히 많이 놀랐었다. 몸은 어린이와 놀면서 착실하게 반응해주고 있었으나 머릿속에서는 아까의 그 대화가 떠나질 않았다. 과연 나도 이런 나무를 처음 본다면 저런 답을 할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나무'라고 쓰여져 있으니 자연스레 나뭇잎을 떠올리지 않았을까 싶었다. 어쩌면 우리는 나무와 나뭇잎이라고 정하고 만들어서 더 그렇게 생각해보지 못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어린이한테 배우는 것이 이상한 게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 아니, 나이 고저를 떠나서 그냥 다른 '한 명의 사람'의 행동이나 대화를 통해서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다고.

 

 

 

모두의 유년기, 그럼에도


 

한 명의 사람으로써 우리는 모두 유년 시절을 보냈다. 유년기를 보내지 않고 청소년기를 거치고 어른이 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어린이에게 너무 큰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또 어린이를 너무 미숙한 존재로 보는 게 아닐까.

 

나의 어렸을 적을 떠올려보며 현재 내가 아이를 대하는 모습을 돌아보거나 하는 게 아니라 그저 나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거나 생각만큼 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혼자 기대하고 혼자 실망하고 있는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또 어린이보다 내가 더 많은 것을 알고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모든 것을 도와주거나 가르쳐주려 하는 것이 아닐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조금만 기다려주면 어린이 스스로 해낼 수 있는 것도 내가 해주고 있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책의 18p에 이런 글이 있다.

 

 

어쩐지 뭉클해져서 현성이에게 말했다.

"그러니까 어른이 되면서 신발 끈 묶는 일도 차차 쉬워질 거야."

그러자 현성이가 담담하게 대답했다.

"그것도 맞는데, 지금도 묶을 수 있어요. 어른은 빨리 할 수 있고, 어린이는 시간이 걸리는 것만 달라요."

 

 

성장하면서 마음대로 근육을 쓸 수 있게 되고, 반복하면서 점차 속도가 빨라진 것은 생각하지 않고 단지 내가 생각한 것보다 느리다는 생각만으로 어린이를 너무 재단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 부분이다.

 

 

 

아트인사이트 에디터 33기 명함 - 손수민.jpg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