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하지 않기에 잘할 수 있게 된다
나는 음악을 잘 아는 것은 아니지만 즐겨 듣는다. 음악을 들으며 글을 쓰면 새로운 글감이 떠오를 때가 많다. 잊고 살았던 기억, 보고 싶은 사람이 생각날 때도 있다. 얼마 전 유튜브 알고리즘에 우연히 힙합의 민족 2 영상이 떠 본적이 있었다. 여느 오디션 프로그램이 그렇듯 참가자들은 랩을하고 뮤지션들의 평가를 받는다. 랩 하는 사람들 중 낯익은 배우의 얼굴이 보였다. 박준면, 문희경 씨였는데 기존 곡과 다르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랩을 했다. 순간 화면에 빨려 들어갈 듯 매료됐다. 음악에 대해 전문가는 아니지만 두 가지는 확실했다. 열심히 연습한 것, 카피가 아닌 본인의 것으로 소화해 불렀다는 것……. 그때부터 였을까. 유명한 작가의 글을 보며 테크닉을 기르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누군가의 삶의 길을 엿보며 가슴에 깨달음으로 다가온다면? 더할 나위 없이 뿌듯한다. 에세이, 그중 에서도 삶의 여정이 고스란히 묻어난 책을 리뷰하려 한다.
해금 연주가 김보씨의 「음악을 한다는 것은」은 그녀가 처음 해금을 통한 일상, 세상, 사람 등의 이야기들을 담았다. 삶의 여정과 음악이 함께 어우러져 있어서일까. 페이지를 넘길수록 그녀의 이야기가 더 궁금해졌다. 더불어 해금이라는 악기도 궁금했다. 해금은 음의 이름을 부여받지 못해 악보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미분음’이라는 명칭으로 수많은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책에서 말하기를 감정의 폭이 무궁무진하고 연주자의 편차가 큰 악기라 했다. 그녀의 삶에 큰 장점은 ‘꾸준함’이다. 그녀가 밴드 잠비나이의 멤버로, 해금 연주가로 전통과 퓨전을 넘나드는 뮤지션이 될 수 있었던 원동력도 이 때문이 아닐까 싶었다.
해금 연주가 김보씨의 「음악을 한다는 것은」은 그녀가 처음 해금을 통한 일상, 세상, 사람 등의 이야기들을 담았다. 삶의 여정과 음악이 함께 어우러져 있어서일까. 페이지를 넘길수록 그녀의 이야기가 더 궁금해졌다. 더불어 해금이라는 악기도 궁금했다. 해금은 음의 이름을 부여받지 못해 악보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미분음’이라는 명칭으로 수많은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책에서 말하기를 감정의 폭이 무궁무진하고 연주자의 편차가 큰 악기라 했다. 그녀의 삶에 큰 장점은 ‘꾸준함’이다. 그녀가 밴드 잠비나이의 멤버로, 해금 연주가로 전통과 퓨전을 넘나드는 뮤지션이 될 수 있었던 원동력도 이 때문이 아닐까 싶었다.
그녀가 학부시절 음악이 아닌 미술수업을 들었던 일화는 흥미로웠다. 립밤 하나를 그릴 때도 눕혀놓기보다는 세우고 열고, 내용물을 다 빼며 여러가지 각도로 그렸다. 립밤이라는 물체에 서사를 부여하기도 했다. 점 하나 찍기 두려웠던 스케치가 과감해지고 재미를 느끼게 된다. 책 본문에서 그녀는 ‘새롭게 보는 시선이 예술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 지, 그것은 운명처럼 오는 것이 아닌 꾸준함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말했다.
모차르트로 태어난 사람이 얼마나 되겠나.
모차르트가 아닌 이상 쌀알만큼 가지고 태어난 재주를 매일 들여다보고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풀무질해야 하는 것이다.
-본문 中 73p
그녀의 매력은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연구하는 도전정신과도 맞닿아 있었다.
새로운 시도, 낯선 소리가 뻗어나간다
김보미 연주가의 삶은 악보대로 연주하지 않는다. 항상 서사를 불어넣기에 여러 방향으로 쳐다본다. 그녀는 장단마다 납득할 수 있는 서사를 부여한다고 말했다. 그래서일까.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의 스펙트럼을 표현 해 음악을 통해 전 세계로 뻗어나가게 할 수 있었으리라. 그녀는 잠비나이로 활동하며 마주한 다양한 순간을 마주했다. 인생은 결과보다 과정의 기억으로 살아간다는 말이 큰 공감이됐다.
각종 오디션에 숱하게 떨어졌던 밴드 잠비나이. 그러나 포기한 채 그 자리에서 전전긍긍했다면 새로운 곳으로 도약하지 못했을 것이다. 표현하고자 했던 음악을 새롭게 알리기 위해 장비를 연결하고, 어떻게 전달될지 아이디어를 내는 과정들…시행착오들 모든 게 합쳐져 전 세계 사람들이 열광 할 수 있는 음악을 탄생시켰으리라. ‘소멸의 시간’이 헬로루키 연말 결선 특별상뿐만 아니라 서태지의 콘서트 오프닝,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까지 오를 수 있던 건 어느 날 하늘에서 툭 떨어진게 아니었다. 여러음정들이, 삶의 경험을 화음으로 쌓듯이, 차곡차곡 얹어졌을 것이다.
"저기 벽에 걸린 그림 보이지? 저 그림처럼 연주해보자."
그림처럼 연주하는 것은 어떻게 연주하는 것이지? 그림을 어떻게 소리로 옮기나.
교수님은 그림이 만들어내고 있는 정취를 소리의 질감으로 표현해보는 것, 선의 굵기와 농담을 활의 밀도로 만들어내는 것에 대해 말씀하셨다.
연주는 단지 악보 위에 그려진 음들의 기능을 잘 수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그간의 세계가 와장창 깨지는 순간이었다. (…) 그날 처음 알게 되었다. 세상의 어떤 형상도 소리로 옮길 수 있다는 것을.
- 본문 中, 41p ~ 42p
그림을 보고 연주하고, 직접 그림을 그리며 새로운 감각을 느끼는 모습도 새로운 시도로 느껴졌다. 작가는 스스로 부끄럽다고 생각했지만 새로운 세계가 깨지고 확장되었던 순간을 경험했다. 해외에서 대중성과 국악과 록의 교집합을 찾는 과정, 무대 위에서의 감정을 보며 해금과 함께한 삶에 대한 희, 노, 애, 락이 느껴졌다.
김보미 연주가의 책 「음악을 한다는 것은」을 읽으며 내 삶을 함께 겹쳐봤다. 내 글은 어떤 서사를 가지고 있을까? 꾸준함과 새로움, 우주를 넘나드는 미지의 언어를 써 본 적이 있는가. 잠비니아, 그리고 해금연주자 김보미의 삶을 돌아보며 글을 쓰는 내 모습을 돌아봤다. 한정적인 세계를 깨트리고, 감정의 폭을 넓히는 것이 예술 아닌가, 그녀의 모습처럼 꾸준히, 새로운 시도와 연습으로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고 싶어지는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