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sight

아트인사이트에게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칼럼·에세이

 

 

2024년 9월의 서울은 볼 것, 만날 것의 천지인지라 아주 분주했다. 나는 그 속에서 이 갤러리, 저 박물관, 그 미술관을 온종일 종횡해야만 했다. 왜인지 조금 피곤한 것 같았다. 깔끔하게 배열된 월 텍스트들, 그리고 좋은 작가들의 좋은 작품들. 다 나름의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었지만 보다 보니 골치가 아팠다.

 

“이걸 다 공부하라는 걸까?”

 

오랜만에 열린 축제에서 각자 원하는 것을 쟁취하려는 이들과 만나고 지나치기를 셀 수 없이 반복했다. 그리고 처음 본 것들이 건네는 말들을 이해하려, 한 자리에 서서 골몰하는 시간은 점점 길어져만 갔다. 그렇게 황홀한 듯한 광경 속에 덩그러니 존재하는 것이 그리 기껍지는 않았다. 작고 어렸을 적 수많은 발과 무릎들이 지나치는 어딘가에 홀로 남겨졌던 기억을 떠올리게 될 수밖에 없었다. 길을 잃은 기분이었다.


처음부터 이랬는가? 분명 아니었다. 나는 언제인가 작가가 마련하는 소통에 매료되어 그림에 푹 빠져들고, 다른 차원의 세계로 인도하는 언어들에 감응하는 애호가였다. 사실은 지금도 다르지 않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지루해하면서도 좋아함을 포기하지 못하고 매달리는 것을 보면. 다만 애호와 열정, 그 사이에 존재하는, 형용못할 공백(空白)과 같은 것을 나는 너무나 생경하게 인지해버린 것이 아닐까?


*

 

오늘은 마크 로스코와 이우환의 작품이 함께 전시되고 있는 한남동의 페이스 갤러리에 다녀왔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 전시에 대해서는 전시가 개최되기 전부터 이미 알고 있었다. 굳이 내 발로 갈 필요가 있을까 싶어 전시 종료 직전까지 방문을 미루려 했을 뿐이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로스코의 언어는 극도로 정형화된 이론가들의 언어로 번역되어 하얀 벽 어디쯤에 정연히 놓여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기대치가 상승하는 회로를 막고 있었다. 고백하자면, 광대하고 공허한 미술관을 찾길 거부하는, 아주 소극적인 관람자로서의 태도-방관자적인 태도라고 해도 무방하다-를 견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오랜만에 작품을 실제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발걸음의 산뜻함을 느끼고 곧장 길을 나선 데엔, 너무나 좋은 도슨트의 역할이 컸다. 소개하자면 책, 『마크 로스코, 내면으로부터』이다.

 

이 책은 아버지의 그림을 한평생 바라봐 온 아들의 기록이다. 누구보다 가까운 곳에서, 한 명의 거장이 고민하며 걸었던 길을 따라 걸었던 이의 소회(所懷)인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글자와 행간 사이 군데군데 애정이 녹아 있는 것 같기도, 그리움이 남아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독자를 감화시키는 감정과 언어를 자연스럽고도 능란하게 활용했다. 마치 마크 로스코가 관람자가 감응할 수 있는 색의 언어를 찾고 작품화한 것처럼 말이다.

 

또 이 책의 포인트는, 이 책이야말로 마크 로스코가 홀로 몰두하고 만들어내는 과정뿐만 아니라 그의 그림에 대해 쏟아졌던 당시의 말들까지도, 그때의 기억을 간직한 이의 손으로 남긴 증거물이라는 점이다. 냉철하고도 객관적인 시선으로 미술의 흐름 속 로스코의 작품을 바라보고, 딱딱한 언어로 부연한 것이 아니다. 다소 주관적일지라도 그 시절의 광경을 한 “사람”의 시점으로 담았다는 것을 읽을수록 실감하게 된다. 글로 쓰인 책이지만, 당시를 보여주는 일종의 창문과 같은 것이다.

 

 크리스토퍼 로스코가 “한 사람으로서” 마크 로스코의 작품과 대면하며 만들어 낸 텍스트는 창문이 되어 우리가 로스코와 마주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는, 마크 로스코가 그림을 창문으로 만들어 우리가 내면을 마주할 수 있게 도와준 것과 같다고도 볼 수 있다.

 

이들 부자(父子)는 대중 속에, 껍데기 같은 대화 사이에 묻혀 버린 개인을 비난하지도, 채찍질하지도 않는다. 그저 그 개인이 적극적으로 그림과, 그리고 내면과 소통하는 것을 당연하게 만들어준다. 내면으로 통하는 창문이자 누구나 내재하고 있는 공백이 된 작품, 그리고 그것과 조응하는 텍스트로써.

 

*

 

전시 <조응: 이우환과 마크 로스코>의 개최 일정에 맞추어 출간된 도서 『마크 로스코, 내면으로부터』와 『예술가의 창조적 진실에 관하여』는 각각 아들의 글, 그리고 아버지의 글이다. 크리스토퍼 로스코는 아들로서 목격한 아버지의 작품세계를 친숙한 언어와 감정으로 앞의 책에 담아냈고, 아버지가 생전에 썼던 글들을 모아 만든 뒤의 책을 아버지의 이름으로 세상에 내놓았다. 그중 오늘 직접적으로 소개한 도서 『마크 로스코, 내면으로부터』는 진행 중인 전시에 대한 친절한 도슨트일 뿐만 아니라 작가이자 아버지, 그리고 한 명의 사람인 마크 로스코와 소통하게 해주는 창문이다. 지금 로스코 부자를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

 

 

마크로스코 앞표지 웹용.jpg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