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00’과 같다는 비유가 정말 많다. 인생은 한 편의 드라마다, 인생은 한 편의 시다 등등.
그렇지만 영화 <승부>를 보고 나면, 인생은 바둑과 같다는 비유가 제일 어울린다. 이를 증명하듯 바둑의 많은 용어들은 이미 일상 속 깊이 스며 있다. ‘자충수’, ‘수 읽기’, ‘패’… 그만큼 바둑은 삶을 살아가는 태도와 방식에 대해 많은 것을 상기시킨다.
영화 <승부>는 조훈현과 이창호, 한국 바둑사에서 상징적인 두 인물의 실화를 다룬 전기 영화다.
세계 최고 바둑 대회에서 한국 최초 우승자가 된 조훈현은 바둑계의 전설, 국민 영웅이 된다. 세계 대회에서 우승한지 머지않아 그는 바둑 신동 이창호를 제자로 들인다.
그는 도제식 교육으로 제자를 키운다. 한 집에서 함께 지내며, 돈독한 가족 같은 사이가 된다. 조훈현은 바둑 그 자체보다는 정신 수련, 체력 단련을 더 강조하며 삶이 바로 설 때 좋은 바둑을 둘 수 있음을 가르친다.
하지만 도제식 교육은 부작용이 있다. 스승의 스타일을 절대적으로 흡수하는 구조이기에 제자의 개성은 억눌릴 수 있다. 이창호는 어느 순간 스승과 자신이 다르다는 것을 느끼고 조용히 자신만의 스타일을 갈고닦는다.
이창호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나만의 바둑을 찾을 것”이라 말한다. 그의 바둑은 조훈현과 정반대다. 빠르고 화려한 조훈현에 비해 느리고 신중하지만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 눈에 띄진 않지만 언제나 판을 읽어내 ‘반집’까지도 포기하지 않는다.
스승 조훈현도 “반집. 바둑판 위엔 존재하지 않는 승부의 최소 단위. 어쩌면 이놈은 다른 걸 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라며 그를 인정하게 된다.
둘의 첫 사제 대결, 모두가 조훈현의 승리를 예상했기에, 제자 이창호의 승리는 조훈현을 포함한 모두에게 충격을 안긴다. 조훈현은 언론 앞에서 애써 웃으며 기원을 나온다. 복도에 나오자마자 그는 숨을 가쁘게 몰아쉬며 방금 무슨 일이 있었는지 곱씹는다. 꿈을 꾼 게 아닐까 싶을 정도의 충격이었을 것이다.
어린 창호에게 조훈현은, “실전에서는 기세가 8할이야. 설령 승부에서 지더라도 기세에서는 밀리면 안 돼”라고 말한 바 있었다. 정작 자신이 승부에서 지자 기세가 속수무책으로 흔들린다. 승부의 결과는 패한 사람에게 마치 <오징어 게임>의 딱지맨이 빨간 딱지, 파란 딱지를 내밀듯 선택하게 한다. 포기할지, 아니면 기세를 다시 올릴지.
오랜만에 패한 스승은 이제 막 ‘기세를 탄’ 제자에게 다시 재도전하기로 마음먹는다.
영화에서는 맨 처음부터 어린 이창호와 함께 등산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현실에서는 조훈현은 이창호에게 진 이후에야 체력의 중요성을 깨닫고 등산과 금연을 시작했다고 한다. 그렇게 그는 머릿속에 꽉 찬 것 같은 담배 연기를 걷어내고, 자기 안에서 정답을 찾아낸다.
그는 승부에서는 졌으나 기세가 남아있기에 다시 이길 수 있음을 증명해 보인다.
이 영화 또한 ‘기세’로 움직인다. 대국의 긴장감을 큰 액션신이 있는 것도 아닌데 바둑알이 놓이는 소리, 음악, 내레이션만으로 잘 표현했다. 바둑용어를 몰라도, 바둑의 룰을 몰라도 이 ‘기싸움’에 모두 공감할 수 있다.
이를 만들어가는 것은 배우들의 열연이다. 특히 조훈현을 연기한 이병헌 배우, 이창호를 연기한 유아인 배우는 그들이 직접 연기한 두 바둑 고수처럼, 각자의 연기 스타일이 다르기에 더욱 영화의 테마가 강조된다. 그리고 두 주연 배우에 많이 묻힌 감이 있는데, 조우진 배우의 연기가 영화의 안정감을 만든다.
다만 조훈현이 이창호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는 장면이 다소 급전개된 감이 있다. 프로가 되어 둘이 대결하는 장면의 양 또한 다소 부족하다고 느꼈다. 유아인 배우의 개인적 논란 때문에 편집하는 과정에서 아쉬움이 생긴 걸 수도 있겠다.
영화 <승부>의 가장 큰 매력은 마치 내가 제자가 된 것처럼 깨달음을 주는 명대사들이다.
특히 이병헌 배우 특유의 중저음으로 들으면 더 드라마틱하게 들린다. 그렇지만 내게 가장 기억에 남았던 대사들은 조우진 배우가 연기한 ‘남기철’역의 것이었다. 그는 이창호에게는 “배우려고 하지 말고 이길 궁리를 하라"라고, 조훈현에게는 “비겁하게 피하지 말라"라며 각자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조언을 해준다. 이 두 마디가 영화 <승부>의 본질을 꿰뚫는 대사라고 생각했다.
승부는 이기고 지는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나답게 싸우는가”의 문제인 것이다.
마지막 대국을 앞두고 조훈현은 바둑판에 ‘무심(無心)’(마음을 비우다), 이창호는 ‘성의(誠意)’(진심을 다한다)를 붓글씨로 쓴다. 바둑판에서 피하기 시작하면 갈 곳이 없다는 것을 두 고수는 알고 있다. 승부의 세계에서 일류가 못되면 서글프다. 그러나 모두가 1등을 할 수는 없는 법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무심하고, 동시에 성의를 다해야 한다.
무심이란, 바둑은 결국 나와의 싸움이라는 것이다. 성의란, 바둑의 승부도 결국 타인과의 관계라는 것이다. 그래서 나와의 싸움을 거쳐 올라온 상대에게 내가 할 수 있는 최고의 예우는 나 또한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진짜 승부는 지는 것도 포함된 과정이다. 1등이 아니더라도, 내가 끝까지 싸워냈다면, 그 안에 이미 다음 승리로 가는 단서를 찾은 것이니까.
바둑과 인생은 정답이 없지만, 정답을 찾는 게임이다.
우리는 그 정답을 찾기 위해 오늘도 한 수를 둔다.
돌 하나에도 이유가 있어야 하듯, 오늘의 선택에도 나만의 뜻이 담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