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6) 낙타를 삼킨 모래시계 [다원예술, 화이트 블럭]

글 입력 2015.06.02 22:34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낙타를 삼킨 모래시계

2015052201f.jpg






낙타를 삼킨 모래시계


일자 : 2015.5.22 ~ 2015.8.16

시간 :  10:30am~06:30pm / 주말,공휴일_10:30am~07:30pm

장소 :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주최 :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문의 : + 82) 31 992 440





<상세정보>


낙타를 삼킨 모래시계

스토리텔링과 시각예술의 접점은 어디일까? 고대 그리스 시인 시모니데스는 ‘시는 말하는 회화요, 회화는 말 없는 시(Poema pictura loquens, pictura poema silens)’라고 했으며, 고대 로마의 시인 호레이스는 그의 저서 시론(Ars Poetica)에서 “Ut Pictura Poesis” 즉 ‘시는 그림과 같이’ 자연을 모방할 줄 알아야 한다고 기술 한 바 있다. 고대부터 학자들은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창작활동과 망막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활동 사이에서 유사성과 상이성을 논하며 그 우열을 가리려 부단히 애써 왔는데, 20세기 초반에 개념미술의 아버지라 일컬어지는 마르셀 뒤샹에 이르러서 두 분야의 화해와 융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마르셀 뒤샹은 8년에 걸쳐 유리 위에 난해한 그림을 제작한 적이 있다. 제목은 ‘그녀의 신랑들에게 발가벗겨지는 신부, 조차도 (La mariée mise à nu par ses célibataires, même)’이다. 제목조차 난해하여 약칭으로 일명 ‘대형유리(Large Glass)’라고도 불리우는 이 작품은 ‘그린박스(The Green Box)’라는 언어 기반의 작품과 한 쌍을 이루도록 제작되었다. ‘그린박스’ 안에는 ‘대형유리’를 만들기 위하여 작업한 드로잉, 노트, 사진 등의 기록물들이 약 96장 들어있다. 뒤샹은 ‘대형유리’를 제대로 보려면 언어작품인 ‘그린박스’를 함께 보아야 비로소 작품이 무엇을 말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망막작용으로 시각예술을 감상하는 것은 반쪽 경험일 뿐이며 두뇌를 사용하여 그 컨셉을 인지하는 과정이 보완되어야 온전히 예술작품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뒤샹이 제시한 언어와 시각예술의 상호 보완작용은 ‘낙타를 삼킨 모래시계’ 전시에 참여한 유현미, 임승천 두 작가의 작업에도 나타난다. 이들의 시각예술 작업은 소설, 시, 내레이션, 시나리오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이 전시의 제목은 작가들의 소설과 내레이션에 등장하는 주요 캐릭터 이름으로 구성되어있다. ‘낙타’는 임승천 작가의 내레이션에 등장하는 주인공이고, ‘모래시계’는 유현미 작가의 단편소설에 등장하는 주요 모티브 이다. 시간성, 서사성, 우화성 등 두 작가의 스토리텔링 전반에 흐르는 공통성을 어우르며 ‘낙타를 삼킨 모래시계’ 전시는 그림과 글, 미술과 문학, 시각예술과 언어를 함께 볼 때 한 작가의 작품세계에 온전히 다가갈 수 있다는 메시지를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시공간 연출에 있어서 시각예술과 언어가 동등한 비중으로 관객에게 다가가도록 의도하였다. 다량의 텍스트를 벽면에 부착시켜서 관객이 스토리텔링을 따라가며 이야기의 주인공과 교감할 수 있도록 하였고, 작품의 근간이 되는 시와 소설을 함께 제시하여 언어라는 상징체계가 시각예술과 교차하며 관객에게 흡수되기를 기대하였다.

 

임승천 작가의 ‘낙타’는 유년기, 중장년기, 노년기의 캐릭터로 등장하며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낙타’ 캐릭터의 일대기를 펼쳐 보인다. 낙타가 태어나면서부터 청소년기를 거쳐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로 변해갈 때 마다 그가 인생에서 부딪히는 사건과 사색의 행보를 임승천 작가의 조각작품과 내레이션으로 만나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유현미 작가는 단편소설 ‘모래시계’를 이 전시와 더불어 책으로 발간하였다. M이라는 연인을 통하여 한 여성이 경험하는 삶의 다차원적 의미가 소설을 읽는 독자에게 공감을 줄 것이며, 알알이 줄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는 모래시계 영상작품을 보는 관람객에게도 이 작품이 과연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단편소설 ‘모래시계’가 줄 것이라 믿는다.

 

이기모 (전시기획자,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01.jpg



02.jpg



05.jpg




서포터즈4기_나유리님.jpg



[나유리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05.03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