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친 낙관주의는 경계할 필요가 있지만, 낙천적인 순간이 필요할 때는 분명히 있다. 계획한 대로 흘러가지 않는 삶과 끊임없는 변수들 속에 “어떻게든 될 것이다”라는 자신에 대한 믿음은 무너지지 않을 수 있는 힘이 되어 준다.
생각이 너무 많아지고, ‘무언가 엄청난 사람이 되지 않으면 의미 없는 삶인가’ 하는 잡생각이 들 때나, 행복이 결국 어떤 것인지 모르겠다는 미궁 속에 빠질 때쯤 보는 《이웃집 야마다군》은 “케 세라 세라”라는 정답을 보여 준다.
이 영화를 처음 만난 것은 약간의 의무감이었다.
많은 사람이 그렇듯, 지브리의 엄청난 팬인 나에게 ‘보지 않은 지브리 영화가 있다’는 사실은 용서할 수 없는 일이었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은 아니지만 지브리의 영화라는 이유만으로 처음 영화를 틀었고, 이제는 가장 많이 반복해서 보는 지브리 영화 중 하나가 되었다.
《이웃집 야마다군》은 지브리 스튜디오의 주요 설립자 중 한 명인 타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영화로, 우리나라에는 《반딧불이의 묘》, 《추억은 방울방울》,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으로 더 알려진 감독이라고 생각한다. 아사히 신문의 4컷 만화 《노노짱(ののちゃん)》을 원작으로, 지브리 풍의 작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 특징이다.
《이웃집 야마다군》은 한 집에서 사는 5명의 야마다 가족의 이야기를 에피소드 형식으로 담고 있다.
4차원 할머니 ‘시게’, 권위주의적인 듯 보이지만 누구보다 순종적인 아버지 ‘타카시’, 깜박깜박하지만 매사 가족을 걱정하는 엄마 ‘마츠코’, 사춘기에 접어든 듯 보이는 첫째 아들 ‘노보루’, 가장 똑 부러지지만 어딘가 특이한 막내딸 ‘노노코’로 이루어진 이야기는, 절대 어울릴 수 없을 것만 같은 다섯 명의 독특한 인물들이 ‘가족’이라는 결합 속에서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 준다.
어이없이 웃기고 일상적인 에피소드들을 보며, 소소한 웃음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깨닫게 된다. 결국 이들이 함께 있기에 이렇게 소소한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매일 저녁 메뉴를 고민하는 일도, TV 채널을 사수하는 일도, 비 오는 날 데리러 나가야 하는 귀찮음도, 작게 보면 번거로운 일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결국 가족이 있기에 느낄 수 있는 또 다른 즐거움이고, 서로에게 힘이 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겉보기에 거대하고 화려한 행복이 아니라, 살아가며 느끼는 소소한 것들, 내 곁에 있는 행복에 감사할 것.
미래가 없어서 두렵고 불안한 것이 아니라, 아직 정해지지 않아서 앞으로의 시간이 기대된다는 것.
나도 이런 마음가짐으로 살아가고 싶다는 작은 욕심을 품게 만든다.
도리스 데이의 원곡이기도 하지만, 《이웃집 야마다군》의 테마곡이기도 한 〈케 세라 세라〉의 가사가 곧 이 영화의 가치관이었다.
어렸을 때 엄마에게 물었어
“내 미래는 어떻게 될까?”
엄마는 대답했지
“기대해봐”
케 세라 세라
될 대로 되겠지
미래는 내 것
사랑에 빠졌을 때 연인에게 물었어
“우리의 사랑은 어떻게 될까?”
그는 대답했지
“기대해봐”
케 세라 세라
될 대로 되겠지
미래는 내 것
이제는 내 아이가 물어봐
“내 미래는 어떻게 될까?”
나는 대답해
“기대해봐”
케 세라 세라
될 대로 되겠지
미래는 내 것
<이웃집 야마다군>은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지브리 스타일의 그림체도, 환상적인 배경도, 무엇보다 대표 감독인 미야자키 감독의 영화도 아니다.
하지만 내게 이 영화는 가장 지브리다운 영화이다. 영화가 주는 따뜻함과 보는 내내 느껴지는 담백하고 부드러운 기분 좋음에서 '지브리같다'는 생각을 한다. 현실에서 벗어나는 듯한 동화같은 영화 속에서 다시 현실을 살아갈 용기를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