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찬실 앞에 넝쿨째 굴러온 복 "찬실이는 복도 많지"

<찬실이는 복도 많지> 리뷰
글 입력 2020.03.17 15:08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메인 포스터.jpg

  


“아 망했다. 왜 그리 일만 하고 살았을꼬?”

 

집도 없고, 남자도 없고, 갑자기 일마저 똑 끊겨버린 영화 프로듀서 ‘찬실’. 현생은 망했다 싶지만, 친한 배우 ‘소피’네 가사도우미로 취직해 살길을 도모한다. 그런데 ‘소피’의 불어 선생님 ‘영’이 누나 마음을 설레게 하더니 장국영이라 우기는 비밀스런 남자까지 등장! 새로 이사간 집주인 할머니도 정이 넘쳐 흐른다. 평생 일복만 터져왔는데, 영화를 그만두니 전에 없던 ‘복’도 들어오는 걸까?


 

아, 찬실이는 복도 많다. 주변에 찬실의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친구들이 있고, 집 주인할머니와 같이 밥을 먹고 콩나물을 함께 다듬으며 수다 떨 수 있다. 그리고 찬실의 곁에는 언제나 응원의 말을 아끼지 않는 장국영씨도 있다. 게다가 영을 만난 후부터는 일 같은 거 다 잊고 있는 힘껏 한 눈을 팔아볼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렇지만 찬실이 처한 현실은, 영화라는 가장 큰 축이 무너져버린 지금의 현실은 찬실 스스로를 가장 복 없는 사람으로 느끼게 한다. 당장 먹고사는 일이 빠듯해진 찬실은 친한 친구 소피의 집에서 가사도우미 일을 한다. 그리고 소피의 집에서 만난이가 영이다. 영이는 소피의 불어 과외를 하고 있었지만 원래 영화 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영이씨는 영화 없이 살 수 있을 것 같아요?” 영은 영화보다 중요한 것들이 더 많으니, 영화가 없어도 살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당장 영화가 사라진 찬실의 삶에서 영의 존재와 영의 말들은 찬실의 삶에서 영화의 빈자리를 채울 수 있을 것 같았다. 영이 찬실을 친한 누나라고 선 그어버리기 전까지는.

 

 

04.jpg

 

 

주인집 할머니와 찬실의 관계는 마주한 방문 사이의 거리만큼 점점 가까워진다. 할머니는 딸이 죽은 후부터 한글을 배운다고 했다. 찬실은 할머니 한글 공부를 도왔고, 할머니가 최선을 다해 삶에 참여하는 방식인 콩나물 다듬기를 도왔다. 그리고 할머니는 두 방 사이의 복도에 있는 작은방을 찬실에게 주었다. 둘 사이에 놓인 비밀스러운 방과 그 속의 마음들을 들여다보며 둘은 더욱 가까워진다.

 

“사람도 꽃처럼 다시 돌아온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찬실은 할머니가 쓴 시구절에 펑펑 눈물을 쏟는다. 이제는 찬실이 좋아했던 영이도, 영화 만드는 내내 함께 했던 감독님도 찬실을 떠난 것이 확실해졌다. 정말로 꽃처럼 이들이 다시 돌아올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렇지만 할머니의 말대로 비워야 다시 채울 수 있는 법이다. 찬실은 자신을 지탱해왔던 지긋지긋한 영화들을 묶어 버릴 준비를 한다. 오래된 영화를 떠나보내는 일에 미련과 슬픔은 없다. 다시 채워나갈 나날에 대한 설렘과 풍요로움만 있을 뿐. 찬실은 자신이 시나리오를 직접 쓰기로 한다. 찬실이 좋아하는 감독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처럼 도저히 지루해서 읽을 수가 없는 길이라고 해도.

 

달은 모양을 바꾼다. 채워지기 위해 비워지고, 비워지기 위해 채워진다. 찬실이는 그 달과 꼭 닮아 있다. 보름달이 되기 위해 자신이 가진 것들을 잔뜩 비워야 했고, 초승달이 되기 위해 자신의 속을 가득 채워야 했다. 찬실은 마침내 ‘목말라서 꾸는 꿈은 행복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뜯겨져나간 공허함과 갈증은 영이씨도, 자신이 좋아하는 감독님도, 그 누구도 채워줄 수 없는 것이었다.

 

 

02.jpg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에서 웃음 또한 놓치지 않는다. 영화의 도입부에서 클래식 음악과 함께 등장하는 짧은 컷들은 찬실이 영화를 그만두게 된 이유를 설명한다. 즐거워 보이는 사람들, 그 앞 테이블에 놓인 술병들, 그리고 한 사람이 붉어진 얼굴로 책상 위에 쓰러진다. 이미지로 더듬어보는 찬실이의 상황들은 대략 짐작만 가능한데, 상상함과 동시에 찬실이 이삿짐을 나르는 장면으로 넘어간다.

 

그 뒤에 따라오는 ‘감독님이 돌아가셨다’는 짧은 대사는 찬실이 지금 왜, 어떻게 이사를 하게 되었는지 보여준다. 기다란 문장이 아닌 몇 가지 장면으로 설명하는 영화는 참으로 영화답다. 짤막한 상황 묘사 사이에서 관객들은 웃음을 느낀다. 일어날 법하고 일어날 법하지 않은 일 사이에서 웃음을 느낀다.

 

또한 이 영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이 클로즈업이다. 줌으로 확대되는 이미지들은 관객을 몰입하게 한다. 이 지점이 가장 극대화되었던 장면은 찬실이 아코디언을 연주하는 장면이지 않을까. 장국영씨가 건네준 아코디언으로 노래 한 곡을 다 연주하고 마지막 작별 인사와 함께 떠날 때까지, 찬실의 모든 움직임은 원테이크 화면이다.

 

카메라의 줌과 함께 찬실의 연주에 빨려 들어가고 다시 빠져나올 때까지 기다랗게 이어진 한 장면은 묘한 감동을 준다. 찬실은 아코디언을 연주하며 모두 비워내고 마침내 채워질 준비를 마친다. 장국영씨는 찬실에게 ‘본인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으라고 했다. 그 해답을 온몸으로 받아들이는 찬실 앞에 장국영씨는 이제 멀리서 마음으로 찬실을 응원한다.


“잘지내요. 어디에 있든 응원할게요.”

 

 

08.jpg

 

 

이 영화는 무엇보다 웃음과 상큼함이 가득하다. 찬실, 소피, 영, 장국영, 할머니까지 어느 한 명 사랑스럽지 않은 인물이 없다. 소피는 찬실의 말에 따르면 ‘깨어있는 동안은 가만히 못 있는 애’였고 장국영씨는 런닝 하나 걸치고 뛰어다니기를 즐겨 한다.

 

찬실은 솔직함이 주는 유쾌함으로 관객들을 한참이나 웃게 한다. 해야겠다는 마음이 생기면 뒤도 안 돌아보고 직진이다. 찬실이 삶과 만나는 곳곳에서 웃음이 새어 나온다. 이렇게 다양한 웃음을 적재적소에 터트리는 영화라면, 내 마음을 쏙 가져가버리는 것은 언제든 환영이다.


 

[장소현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04.25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