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inion] 민주주의와 폭력 - 블러디선데이 [영화]

글 입력 2020.02.06 01:15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북아일랜드의 시민권 요구로부터 시작된 시위. 그리고 평화롭던 시위 중 누군가의 발포를 시작으로 비폭력 비무장 시위였던 현장은 난장판이 된다. ‘피의 일요일 사건’ 이라 불리는 실화로부터 만들어진 ‘블러디 선데이’.


 

1번.jpg


 

블러디 선데이는 1970년대 북아일랜드가 영국에게 시민권을 요구하며 일어난 비무장 시위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당시 시위대는 평화롭게 시위를 진행했지만, 영국군인지 시위대인지 모를 누군가가 발포한 총탄으로부터 평화 시위는 비극으로 바뀌었다. 당황한 영국군은 대응하여 사격을 개시했고 평화로운 현장은 아수라장이 되었다.


그 사건으로 14명이 사망하고 13명이 부상을 당하였다. 이후 영국군의 대처는 충격적이다. 시위대를 조사하여 무기를 발견하고 시위대 진압을 정당화하였다. 덕분에 발포 관계자는 무죄판결을 받고 지휘자들은 훈장을 수여 받으며 마무리되는 듯했다. 하지만 수년 뒤 재조사 결과 당시 영국 정부의 은폐 사실이 드러났고 공식 사과를 받아낸다.

 


 

1. 관점


 

블러디선데이는 이 사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자칫 감독의 손에 의해 시위대의 관점에서, 혹은 정부의 관점에서 표현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카메라 시점을 채용하여 객관적 시점을 유지했다.

 

만약 시위대 시점을 채용했다면 비무장 시위를 하고 있던 선량한 시민들 사이에 정부의 스파이가 숨어 있어 발포하였고 그 결과 정부가 합법적으로 무력을 사용할 수 있었다. 라는 전개가 펼쳐질 수도 있었다.

 

반대로 정부의 시점을 채용하였다면 시위대가 먼저 발포를 하였기에 국군을 지키기 위해, 혹은 무장 시위에 휘말릴 시민들을 보호하는 명목하에 무장대응을 하였다. 라고 표현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시위대의 선 무장시위로 밝혀진 그때의 사건은, 수년의 기간을 두고 재조사하자  당시 정부의 시민 사살 정당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조작과 은폐로 밝혀졌다.


그렇다면 현재 밝혀진 진상에 따르면 시위대의 잘못은 없고 오로지 발포를 유도, 혹은 조작하고 그에 무장 대응한 정부의 일방적인 잘못일까. 그러면 극단적인 해결방안으로 정부는 비무장 시위라는 것이 확증된다면 방어선을 구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일까.

 


 

2. 시위 : 위력이나 기세를 떨쳐보임


 

시위는 민주주의 사회에 의견을 주장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이상적인 민주사회에서의 시위는 시위 측이 체계적 절차를 밟아 평화적으로 경찰의 안내에 따라 그들의 목소리를 내고 정부 측은 그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다.


하지만 영화에도 나오듯이 보통의 시위는 폭력을 동반한다. 시위대는 초반에 비무장 비폭력을 주장하지만, 시위가 진행될수록 과격해지며 폭력이 더해지는 상황까지 이른다.


이상적인 시위를 추구하며 과격시위를 예방하기 위해 간디의 비폭력 시위 캠페인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경찰, 심할 경우에는 군을 배치하여 폭력 시위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차단한다. 물론 군대가 배치되는 상황까지 간다면 이미 시위는 평화 목적의 시위에서 멀어진 상태라는 것을 뜻한다.


그렇다면 반대로 시위대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정부 측에서 아무런 무장도 하지 않거나 아예 방어선 구축을 하지 않는다면 평화로운 시위가 될까. 사실 이런 가능성을 생각한다는 것이 극단적인 사고이긴 하나, 가능성을 두고 방법을 찾을 때는 극단적인 측면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기에 이런 방향까지 생각해봐야 한다.


 

2qjs.jpg

 

 

 

3. 더 나아가


 

영화를 벗어나 조금 더 나가서 생각해보면 시위대와 정부가 대치하고 있는 상황은 테러리스트들에게는 아주 좋은 상황을 제공해준다. 시위대 측에서 테러리스트가 나올 수 있으며 아무에게도 끼지 않는 제 3자가 테러를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테러는 공포를 확산해 그들의 의견을 공격적으로 주장하는 방법인데, 좁은 공간에 다수의 사람이 모여 있는 시위 현장은 테러리스트들에게는 아주 적합한 장소가 된다. 제3 세력으로부터 테러가 일어난다면 상당한 피해를 볼 것이다. 하지만 더 심각한 사태는 만약 시위 세력 중에 테러리스트가 있다면 순식간에 양측의 무분별 유혈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제3 세력에 의한 테러는 시위대와 정부 의견과는 또 다른 의견이므로 기존 의견 조율에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지만 시위대 중에서 테러가 발생한다면 두 세력의 물리적 충돌을 물론이고 의견 조율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 책임을 묻기 시작하면 시위대의 의견은 받아들여지기 힘들어진다.


 

3qjs.jpg

 

 

이번엔 정부의 관점으로 살펴보자. 사실 테러라는 행위가 권력에 의해 다르게 평 받을 수 있는 요소가 있다. 예를 들어 독재자가 실제로 집권하고 있는 사태에 저항군이 무력시위를 했다면 이는 테러로 낙인찍혀 국제사회에서 배제될 수 있다.


만약 테러를 자행한 국가가 등장한다면 그 국가는 이미 국민의 신뢰를 잃어버린 나라이며 국제사회는 물론 시민들의 거친 저항이 일어나는 국가 운영이 불가능한 상황이 될 것이다.

 


 

4. 폭력과 인권


 

위에서 서술했듯이 시위에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가능성을 떠올리는 기준은바로 '폭력'의 정도이다. 현대사회에서는 공개적인 폭력은 구성원들에게 하대 받는 행동이다. 폭력은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되어서는 안 되며 교묘하게 숨긴 폭력은 마땅히 사람이 받아야 할 권리인 ‘인권’ 에 흠집을 낸다.


인류가 살아온 세월 동안 무수히 많은 폭력이 있었지만, 그 폭력을 겪어가며 인간다운 사고와 행동을 취해 다져지고 닦아온 인권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마땅히 누려야 하는 권리이며 지키고 발전시켜야 하는 사항이다.


 

 

아트인사이트 명함.jpg

 


[김상현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04.25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