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나에게도 하는 고백 - 직업으로서의 예술가: 고백과 자각

글 입력 2021.06.26 13:08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이 책은 52명의 예술가 한명 한명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아왔고 살아가고 있는지 보여주는 이야기다. 어느 한 줄 낭비되는 문장이 없었다. 생각의 결을 두드러지게 보여주려 노력했다. (중략) 여기 등장하는 모두가 우리와 닮은 구석을 한두 가지쯤은 지니고 있으니, 거부감 없이 그들의 문장에 스며들 수 있을 것이다. 조금 낯선 말이나 문장을 발견하면, 그것대로 축복할 일이다. 세상에 새로운 이야기가 또 있다니, 얼마나 기쁜 일인가.

 

- 프롤로그 中


 

사람 때문에 상처받은 날 펼쳐 든 책. 곳곳에 있는 치유의 문장은 '직업으로서의 예술가'를 넘어 사람과 목표, 삶을 담은 우리네의 이야기였고, 나의 이야기였다. 삶을 바라보는 다른 사람들의 태도를 배우고, 그들이 전해주고 싶은 것들을 온전히 받을 수 있던 시간이 되었다. '아무 페이지나 펼쳐서 읽어도 상관없다.'는 말을 대변하듯, 페이지 사이사이 형광펜과 포스트잇이 붙여졌다. 책을 통해 웃음 지을 수 있었고, 좀 더 나은 태도와 삶의 방식을 배운다. 계속 걷되, 나를 믿고, 무겁게 생각하지 말기로.



[크기변환]ㅈㅁ.jpg

 

 

 

나의 마음에게



 

“‘얘 왜 웃다가 갑자기 울어?’ 그럴 수 있잖아요? 그런데 내가 이해를 못 하는 것뿐인 거죠.” 162p

 

“사람이 다 달라요. 그냥 받아들이면 돼요.” 65p

 


“그럴 수도 있지, 그렇지, 생각해요. 다 내 생각 같지는 않잖아요. 나랑 안 맞는 것뿐이지 다른 사람들은 충분히 할 수 있는 대사일 수도 있다는 거죠. 김재범 네가 못하는 거지, 다른 사람은 충분히 할 수 있는 거야. 그러니까 일단 해봐. 스스로 말해요. 나는 나를 믿고 내가 해석한 캐릭터로 열심히 해보겠다고 나를 위로해줘요.” 156p

“사람이 딱 한 가지 모습만 가지고 여러 집단을 오가면서 살아가는 건 아니잖아요. 조금씩 달라지니까. (중략) 더 받아들이고, 더 해보고, 그다음에 이야기하자.” 161p


‘그럴 수 있지’라는 말은 한때 내가 자주 쓰던 말이었다. 몇 번이고 되뇌면 금방이고 마음이 가라앉았고, 상대를 존중하고 나를 다독이는 말이었기 때문이다. 대수롭지 않게 지나가는 것만큼 편한 건 없는데, 이번엔 달랐다. 본인 기준에 내가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면전에서 나를 부정한 그의 말은 나의 하루를, 아니 요 며칠 사이를 뒤숭숭하게 만들었다. 그런 말을 듣고도 내가 ‘그럴 수 있다’는 말로 흘려보내는 건 그에게 크나큰 사치 아닌가, 내 상처는 어쩌고 그렇게 상대를 내버려 두는 게 맞는 건가, 생각이 들었다.


누구를 위한 일인가. 나를 위해? 그를 위해? ‘그럴 수 있다’는 말을 쓰는 것부터도 큰 아량과 마음의 넓은 그릇이 필요한 말이었단 걸 깨달았다. 책에 적힌 문구를 빤-히 쳐다보니, 문장들이 내게 ‘너 역시 그럴 수 있어. 그런 감정이 들 수 있어.’라 말해 주는 것 같아 기분이 놓였다. 그래. 내가 이해를 못하는 거지, 그 사람은 딱 그 사람만 한 말을 했어. 그런 사람들이 충분히 하고도 남는 대사였지. 그럴 수 있고말고.

 

 


가는 길에_쉬어가도 좋으니 걸음이 멈추지 않기를


 

“저는 오디션에서 잘 안 떨었어요. ‘떨어지면 다른 거 하지 뭐’ 이런 마음이었으니까요.” 47p

“처음인 게 많고, 처음부터 잘할 수는 없고, 그러면 열심히 해야 하는 게 맞으니까요.” 278p

“잘 안된다고 부정적인 이야기를 하는 친구들을 유심히 관찰해보면 사실 열심히 안 해요. 그 와중에도 어쨌든 즐길 거리를 찾고 있는 모습을 보면….” 122p


가는 길엔 열심히, 그렇지만 너무 목매지 않기. 열심히 노력하는 분야가 있고, 열심히 노력하려는 의지조차 나지 않는 일이 있다. 어느 유튜버의 말에 공감했었고, 나도 살아오며 체감한 것은 ‘의지는 쥐어짠다고 나오는 게 아니더라.’는 것. 사람은 욕심나는 것에 열을 낸다. 열심히 하지 않는 자신을 자책하기보다는, 그 일이 자신이 욕심나는 일인지도 고려해볼 것이더라. 그런데, 때로는 힘 빼고 한 게 더 성과가 좋던 것도 있다. 참, 세상은 알다가도 모르겠다.

 

 

[크기변환]dj-6288661_1920.jpg

 

 

얼마 전, 한 영상을 보았다. 스태프의 실수로 앵콜 곡이 먼저 나온 싸이의 공연 영상이었는데, 싸이는 이렇게 말했다. ‘원래 예술이, 실수로 시작이 되는 거에요.’ 인생에서 일어나는 수만 가지 실수는 우리의 인생을 ‘예술’로 만든다. 댓글들도 감동이었다. ‘실수는 하면 안 되는 건 줄 알았어요.’ 그래도 된다. 예술이니까. 실수하면서, 열심히 하면서, 어쭙잖지만 즐기면서. 그렇게 가자.


 

 

그래도, Simple is the best




 

파스텔 연한 색을 좀 더 진하게

좋아하는 그림들로 맘을 채우고

어려운 말들은 좀 더 쉽게

I know, The Simple is the best (가사 中)

 

 

“Simple is the best. 마구 쌓아놨던 것들이 사르르 무너지면서 그 안에 아주 조그만 알갱이 하나가 남은 기분인 거예요.” 313p

“목표는 늘 바뀌는 거니까, 그 바뀌는 목표를 향해 가는 것 자체가 저의 목표라는 거죠.” 124p

“저는 결과물에 대한 기대감이 전혀 없거든요. 저는 열심히 했으니까 괜찮아요. 내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했으면 후회는 없거든요. 실망하거나 상심할 시간에 기분 좋게 다른 거 더 연습하는 쪽이 맞다고 봐요.” 182p

 

책을 통해 좋은 가사가 담긴 곡을 알게 되었다. 복세편살.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 쉽게 가자, 간단하게 하자. 내 기준에 따라, 내가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을 생각하면서 나라도 나를 믿어주자. 끝없이 이어지는 반점(,)보다는 진하게 채운 간단한 온점(.) 하나가 나을 때가 있다.


 

 

안희연_323p



[크기변환]20.jpg

 

 

“노력해도 안 되는 게 있어요. (중략) 스타일리스트 선생님이 계시는 이유가 있죠. 자신을 꾸밀 수 없다는 이유로 자책할 필요가 없다는 걸 지금은 알게 됐어요. 아주 간단한 문제였는데.”

“만약 지금 제 선택이 잘못됐다면, 미래의 나에게 조금 미안해하고 말죠, 뭐. 지금 나의 말을 들어주는 게 저에게는 가장 중요한 일이 됐어요.”

“나를 위해서 문을 열어두길 참 잘했어요. 연예인이었다고 해서 앞으로도 연예인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거.”

 

한 토크 프로그램에서 안희연(EXID 하니)씨가 나온 걸 봤다. 이렇게 단단했던 사람이었구나, 그의 빛나는 눈동자를 보며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책에서 만난 그에게 한 번 더 흠뻑 빠졌다. 멋있다, 이렇게 살아야지. 323페이지부터의 그의 이야기는 공감의 연속이었다.

 

사람마다 잘하는 게 있고, 노력해도 안 되는 게 있다. 얼마 전, 수동으로 제본을 떠 책자를 만들었다. 적성을 찾았다 싶었는데, 천만의 말씀. 나는 곰손이었다. 자책도 잠시, 인쇄소가 있고 서점이 있는 이유를 수긍했다. 미래에 미안한 선택을 했지만, 언젠간 다 쓸모가 있을 경험이었더라. 선택의 폭과 다양성을 ‘현재의 삶’에 대입하며 사는 그를 보며 닮고 싶고, 가까이 두고 싶은 사람이라고 느꼈다. 견고하고 긍정적인 에너지에 응원이 샘솟았다. ‘우리야, 모두야, 세상아, 나는 네가 참 좋다.’ 그의 사인을 오래도록 쳐다보며 웃음 지었다.

 

도서 <직업으로서의 예술가-고백과 자각>으로 문장의 힘을 다시금 느꼈고,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걸 좋아하는 나로서는 인터뷰 형식의 내용 덕분에 정말 재미있게 향유할 수 있었다. 그들의 고백과 나의 고백이 한데 엉켜 이렇게 리뷰로 글을 기고하는 자체에 행복함과 자부를 느낀 시간이었다. 우리 모두 실수투성이지만 그로 인한 예술을 사는, 예술가들이다. 창작의 최전선에 있는 26인의 이야기이자 나의 고백, 우리 세상에 대한 책이었다.

 

 

[서지유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03.27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