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묘한 이야기>, <엄브렐러 아카데미>의 다음 시즌은 내년 여름에, 이미 미국에서는 종영했지만 한국에는 언제 올라올지 모르는 <브루클린 나인나인>. 이제 도대체 뭘 봐야 될까 싶을 때쯤 발견한 <코민스키 메소드>. 간혹 우연히 접한 게 뇌리에 깊이 박힐 때가 있는데, <코민스키 메소드>가 딱 그랬다.
시니컬한 중노년들의 거침없는 입담은 대놓고 야한 19금 드라마보다 더 낯부끄럽다. 하지만 분명 시작할 때는 코미디였는데 극이 결말에 다다를수록 인생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게끔 만드는 드라마였다.
꿈
주인공 샌디 코민스키는 연기를 사랑하지만 배우로서 인생이 잘 풀리지는 않았다. 배우의 길 대신 연기 강사의 길을 선택한 샌디는 영화의 도시 LA에 스튜디오를 차리고 연기자를 꿈꾸는 학생들을 가르친다. 하지만 여전히 샌디는 배우로서 다시 재기하기를 꿈꾼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드라마를 노인판 <라라랜드>라고 말하고 싶다. <라라랜드>에서 셉과 미아는 틀어지기도 했지만 셉은 미아를 연인, 그리고 친구로서 지지해 주고 미아는 이런 지지와 자신의 재능을 가지고 결국 배우로서 성공한다.
이 드라마에서 샌디와 노먼이 딱 그렇다. 재능은 있지만 기회가 오지 않았던 샌디와 아이러니하게도 연예계 유명 에이전시 회장인 노먼. 노먼은 극 내내 티를 내지 않았지만 샌디에게 걸맞은 역할을 찾아주기 위해 노력했다.
노먼이 감독에게 보낸 옛 연기 영상 덕분에 샌디는 ‘노인과 바다’ 리메이크 작에 캐스팅되는데, 샌디는 이 사실을 노먼이 죽고 나서야 알게 된다. ‘노인과 바다’로 에미상까지 받게 된 샌디는 한 평생 바라왔던 꿈을 이룬다.
비슷한 관계성을 보고 <라라랜드> 같다고 한 것도 있지만 두 작품을 다 본 후에 어떻게 한 평생 한 꿈만 바라보고 살까, 그게 어떤 느낌일까 하는 감상도 비슷해서 더 겹쳐 보였던 것 같다.
죽음
타인의 죽음도 마주하기 두려워했던 샌디, 죽음에 초연한 샌디의 오랜 친구 노먼과 그의 아내 아일린 그리고 샌디의 첫 아내였던 로즈. 영화 속 노인들은 대부분 더 이상의 삶에 욕심내지 않고 언제 어떻게 찾아올지 모르는 죽음에 대해 초연하다.
심지어 자신의 장례식은 이렇게 해달라며 요구사항까지 말한다. 그런 영화 속 노인들을 보며 어떻게 남도 아닌 자신의 죽음인데 저렇게 담담할 수 있을까, 나이를 먹으면 다 저렇게 해탈의 경지에 오르는 걸까?라는 생각을 하곤 했다.
하지만 <코민스키 메소드> 속 주인공 샌디 코민스키는 그런 영화 속 노인들과는 조금 달랐다. 연기 학원의 보조이자 딸인 민디가 도대체 언제 오랜 친구인 노먼의 아내 아일린을 보러 갈 생각이냐고 추궁할 때도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보러가기를 꺼린다.
그런 샌디가 아일린, 노먼, 로즈의 죽음을 겪고 <타이타닉>에서 잭과 로즈의 마지막 장면을 재연한 학생들의 연기 후 덧붙인 죽음에 대한 코멘트는 아주 인상적이었다.
*
스튜디오의 학생으로 만나 연인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 같았던 리사와는 흐지부지하게 끝나고, 사이가 좋아질 것이라 기대도 안 했던 첫 아내 로즈와는 친구처럼 지내고. 딸의 남편이 될 사람은 자신과 동년배라 만나기도 전부터 마음에 안 들었는데 막상 만나보니 통하는 구석이 많았고, 연기 강사로서의 삶에 만족하려던 찰나에 주어진 기회는 터닝 포인트가 됐다.
상까지 탔으니 더 이상 강사로서 스튜디오를 운영하지 않아도 될 텐데, 샌디가 트로피를 가지고 들어간 곳은 스튜디오였다. 그리고서 그럼 수업을 시작하자는 말과 함께 드라마가 끝난다.
이 드라마가 좋았던 이유가 바로 자신이 원래 있었던 곳, 자신을 기다려주는 사람들이 있는 곳으로 돌아가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는 이 마지막 장면 때문이었다.
사실 노년이 주인공이라 시대착오적인 말도 꽤 많이 나오고 여성 캐릭터를 마냥 잘 썼다고 할 수도 없다. 눈물을 흘리려 하면 바로 피식 웃게 해, 코미디 드라마가 아닌 한 사람의 코미디 같은 노년을 보는 것 같았다.
이 드라마가 삶을 다루는 방법은 극적이지도, 그렇다고 담담하지도 않지만 그래서 더 와닿았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