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inion] 달이 기울면 [영화]

트라우마(trauma)에 의거한 불안
글 입력 2021.07.02 17:24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트라우마(trauma)란


 

정소영 감독의 단편영화 「달이 기울면」의 텍스트 분석을 하기에 앞서 먼저 트라우마(trauma)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 영화는 트라우마에 의거한 불안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트라우마란 일반적인 의학용어로는 '외상(外傷)'을 뜻하나, 심리학에서는 '정신적 외상', ‘(영구적인 정신 장애를 남기는) 충격'을 말한다. 트라우마는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를 동반하는 일이 많기에 이러한 이미지는 장기 기억되어 사고 당시와 비슷한 상황이 되었을 때 머리속에 이미지가 떠오르며 불안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달이기울면주인공.jpg

 

 

영화에서 가장 독특하게 느껴지는 기울어진 집은 주인공 ‘재아’의 트라우마를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기울어진 형태는 보는 이로 하여금 불안정성과 불안감을 조성한다. 그리고 트라우마는 마음 속 깊은 곳에 숨어 있다가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불쑥 튀어나와 정신을 잠식한다.

 

그래서 주인공 ‘재아’ 또한 평소에는 아무렇지 않았지만 외부적 요인인 지진으로 인해 과거의 트라우마가 떠오르게 되자 기절하는 등의 장면이 나온 이유가 그러하다.

 

 

 

기울어진 집


 

기울어진집안.jpg

 

 

영화는 기울어진 형태를 주된 이미지로 잡았다. 그래서 영화 속 주된 공간적 배경인 집 자체가 기울어져 표현되는데, 기울어진 집안이 주는 이미지는 관객들에게 불쾌한 기분을 야기한다. 가장 안락해야할 공간이 기울어졌다는 것은 주인공의 삶이 밸런스가 무너지고 극심한 혼란 상태라는 것을 보여 준다.


이는 트라우마를 형상화시켰을 뿐만아니라 무언가가 일어날 것만 같은 분위기를 조성한다. 기울어진 집에서 제사를 지내려고 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집이 더이상 안락하고 쉴 수 있는 공간이 아닌 불안정한 공간으로 설정되어 관객들은 이 공간을 벗어나고 싶어진다. 즉 낯익은 낯설음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영화에 더 몰입하게 만든다.


영화는 주인공. ‘재아’가 기울어진 집에서 부모님 제사를 지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내용으로 진행된다. 그래서 영화가 시작되고 난 뒤 이웃 아주머니가 전해주는 과일을 받기 위해 어그러져 열리지 않는 문짝 대신 문 옆에 난 조그만 통로를 통해 물건을 주고 받는 장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리고 아주머니의 걱정스러운 우려와 자신은 이 기울어진 동네를 벗어난다고 말하는 장면을 통해 이제 기울어진 동네에 남아있는 사람은 주인공인 ‘재아’ 뿐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재아’는 제사를 위해 촛대를 세우거나 사과를 올려 놓지만 기울어진 집 때문에 물건들이 구르거나 제대로 안착되지 못한다. 화나고 짜증나지만 이 곳을 벗어날 생각은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세상 소식을 알 수 있는 라디오에서 들려오는 이야기는 방사능 비, 홀로 사는 여대생을 노린 성폭행 범죄의 증가와 같은 안 좋은 소식들 뿐이다. 그리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유일한 매체인 전화기에서는 돈을 재촉하는 오빠의 목소리만 들려온다.

 

 

 

오빠의 등장


 

달이기울면오빠.jpg

 

 

제사를 준비 하던 중 ‘재아’에게 친오빠가 찾아온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주목해야할 것은 오빠가 찾아오는 씬(Scene)의 분위기가 매우 공포스럽게 그려진다. 마치 서스펜스 스릴러 장르처럼 말이다. 서스펜스 스릴러 장르의 특징인 어두운 밤, 비가 거세게 내리는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버려진 동네에 추적추적 발소리가 들린다. 문을 열어보려고 하는 데 문은 굳게 잠겨있기에 집을 돌아 창문으로 다가간다. 창문 밖으로 비치는 사람의 모습은 ‘재아’에게 극도의 공포감을 안겨준다.


그래서 재아는 칼을 들고 창문을 억지로 여는 사람을 찌른다. 그러나 그가 오빠인 것을 깨닫고 안심하게 되는데 이 부분만을 보자면 영화는 스릴러장르로 보인다. 그러나 미스테리(Mystery)한 인물은 ‘재아’의 친오빠로, 같이 제사를 지내기 위해 찾아온 것이다. 이는 맥커핀(Macguffin)으로, 맥커핀(Macguffin)이란 속임수, 미끼라는 뜻으로 영화에서는 서스펜스 장르의 대가 알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이 고안한 극적 장치를 말한다.


극의 초반부에 중요한 것처럼 등장했다가 사라져버리는 일종의 ‘헛다리짚기’ 장치를 말한다. 관객들의 기대 심리를 배반함으로써 노리는 효과는 동일화와 긴장감 유지이다. 주목을 받는 대상을 맥거핀(Macguffin)으로 사용해 관객들의 김을 빼놓는다. 관객은 스스로의 믿음과 판단력이 조롱당했음을 깨닫게 되지만 이 때문에 불쾌함을 느끼기보다는 성찰의 기회를 갖게 된다. 무의미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무가치한 것에 가치를 부여하는 행위는 무지와 오해로 인한 아이러니한 세계를 형성한다.

 

히치콕은 헛다리짚기를 통해 동일화의 허구성을 체험하도록 만들었지만, 히치콕 이후의 감독들은 극적 재미를 위한 트릭으로 맥거핀(Macguffin)을 쓰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감독은 ‘재아’의 자살기도, 친오빠의 등장을 맥거핀(Macguffin)으로 그려내어 영화의 재미를 높였다.


기울어진 공간에서 친오빠의 등장은 ‘재아’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어주는 존재처럼 비춰준다. 그러나 친오빠와 같이 제사 준비를 해도 기울어진 공간에서는 제대로 되는 것이 없다. 왜냐하면 과일들은 제대로 그릇에 위치하지도 못하고 선풍기 또한 기울어진 곳에서는 작동이 되지 않아 사용할 때마다 수평을 맞추어야 작동이 된다.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수평을 맞추어야 한다.

 

 

집을고치는중.jpg

 

 

이 장면은 불안정한 사람이 제대로 사회에서 작동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수평을 맞추어야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기울어진 공간은 사람의 마음을 형상화하며 바깥세상 즉, 사회에서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울어진 마음을 수평으로 맞추어야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래야 제 기능을 하며 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다. 기울어진 공간에서는 억지로 수평을 맞추지 않는 이상 작동되지 않는다. 트라우마를 가진 사람은 이렇게 자신의 마음을 억지로 수평을 맞추면서 살아가고 있다.


오빠는 왼발은 의족을 차고 있고 오른발에 소리가 나는 발찌를 차고 있다. 이는 오빠에게는 족쇄이자, 재아에게는 트라우마의 청각화다. 오빠가 장애를 가지게 된 이유는 ‘재아’의 욕심 때문이다. ‘재아’는 어릴 적 서랍장 위에 있는 과자를 가져가기 위해 지진이 나는 상황에서도 도망가지 않았다. 오빠는 그런 ‘재아’를 구하기 위해 들어갔다가 서랍장이 친오빠를 덮쳐 왼쪽발이 절단된 것이다.


오빠가 움직일 때마다 들리는 소리는 ‘재아’의 트라우마를 야기한다. 그리고 오빠에게 발찌는 족쇄이다. 집을 떠나온 뒤 3년 동안 자신이 가진 핸디캡을 딛고 살아보려고 했지만 의족을 착용한 오빠에게 던져지는 사회의 시선은 곱지 않다. 그 나름대로 막노동을 하면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며 지내왔지만 생활의 궁핍함과 차가운 사회의 시선은 쉬이 없어지지 않는다. 결국 막노동 현장에서 사고로 죽음을 맞이하게 되면서 오빠는 자신의 족쇄를 끊어내지 못하고 잠식된 모습을 그린다.

 

 

 

동굴


 

동굴.jpg

 

 

「달이 기울면」에는 동굴이 등장한다. 오빠가 제사를 준비하다가 물건이 제대로 안 세워지고 굴러 떨어지는 이 공간이 지긋지긋하여 땅을 파고 동굴을 발견한다. 동굴 안에서는 빛이 새어 나오고 기울어져 있지 않다. 그래서 이 동굴안에서 ‘재아’와 오빠는 제사를 지내려고 한다. 그리고 마치 어머니 자궁과 같은 안락함도 느껴진다. 이 공간 속에서는 두 인물간의 트라우마를 직접 입밖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러던 중에 지진이 발생하고 기울어진 집은 점차 수평이 맞춰지게 된다. 수평을 맞춰지는 집을 보면서 ‘재아’는 자신이 오빠의 발을 다치게 한 사건이 떠오르고 재아는 기절한다. 다음 날 아침 찾아온 사람들로 인해 문이 부서지고 ‘재아’는 오빠의 유품을 받으며 영화는 끝이 난다.

 

 

자궁같은동굴.jpg

 

 

영화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죽음 충동과 연결 지어 텍스트를 분석해 볼 수 있다. 여자 주인공 ‘재아’와 오빠는 죽음 충동에 빠져있다. 죽음 충동이란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분석학 용어로 죽음으로 향하려는 욕구를 말한다.


‘재아’가 자살기도를 하는 장면을 맥거핀으로 사용하면서 ‘재아’의 죽음충동을 그려내거나 오빠가 자신의 죽음을 동굴안에서 고백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기울어진 집 안에 구멍을 뚫어 동굴을 만들고 동굴을 통해서 밖으로 나가려고 하는 등장인물의 모습은 일방적인 공간(상징계)에서 동굴이라는 상상계의 틈으로 들어가고 싶은 욕망을 보여준다.

 

동굴은 죽음으로 가는 공간이다. 동굴은 돌아가신 부모님의 제사를 지내고 오빠가 자신의 죽음을 토로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크레딧에서 조그만 공간으로 빨려 가는듯한 장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임상체험을 한 경험자들의 이야기를 토대로 죽음을 맞이했을 때 환한 빛이 나오고 그 빛에 빨려들어가는 느낌을 받았다는 진술을 영상화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시간으로서의 이미지란 공간 속에 과거, 미래, 현재가 혼용되어 있는 공간을 말하는데 불쾌한 공간의 고리를 끊고 싶은데 그 파편화된 이미지에서 과거의 이미지가 떠오르는 것을 말한다.


이는 동굴에서 부모님의 제사를 지내다가 오빠가 자신의 죽음을 말하자 지진이 일어나고 파편화된 과거의 이미지를 통해 재아가 자신 때문에 오빠가 장애를 가지게 되었다는 죄책감을 불러일으키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과거, 현재, 미래가 혼재된 공간인 동굴은 시간으로서의 이미지로 해석될 수 있다. 즉 현재라는 시간 속에서 과거와 미래, 현재의 시간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다.

 

 

 

달이 기울면


 

단편 영화 「달이 기울면」을 보고 나면 맥거핀, 죽음 충동, 시간으로서의 이미지등 다양한 이론들을 영화적으로 세련되고 감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하는 것이다라는 것을 배울 수 있게 해준 영화인 것 같다.

 

영화가 던져주는 메시지는 다소 무겁지만 누구에게나 트라우마는 있다. 그리고 사람들은 언제나 수평만 유지할 수는 없다. 한 쪽으로 기울수 도 있고 불안감에 빠져 자살을 기도하게 될 수도 있다. 이렇게 트라우마(trauma)를 통해 잠식되는 불안감이라는 어두운 감정을 기울어진 공간 속 ‘재아’라는 인물을 통해 잘 드러낸 것 같다.

 

 

[나시은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04.19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