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sight

아트인사이트에게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칼럼·에세이

화랑미술제.jpg

2015 화랑미술제

미술관을 가보고 싶었지만 딱히 어딜 가야 될지 모르겠어서 
문화의 예술종합체인 티비라는 미디어 매개체를 통해도움을 받고자 채널을 돌렸다. 
그러나, 유명 화가가 그린 그림을 보고있자면 저 그림들이 왜 몇억이나 하는지도 모르겠고, 
전문가들은 캔퍼스에 검은 점이 찍힌 것을 보고 아름답다 말할 때는 무슨 생각으로 말하는건가 싶을 정도로 나는 정말 미술에 문외한 사람이다. 
(사실 모든 사람들이 저 그림을 이해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되지 않는다 하하) 
인터넷으로 3월 미술제를 알아보다가 찾아본게 2015화랑미술제였다. 
한 구성 또는 한 카테고리만을 선정해서 보여주는 전시회가 아니라 
많은 작가들로 하여금 그 작가의 특색을 다양한 면으로 볼 수 있는 화랑미술제. 
사진, 그림의 색감, 붓놀림, 한지, 철, 유리 등 풍부한 작품을 한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사실 미술전에 특별한 관심이 없는 이상 무엇이 재밌는지, 
어떤 작가의 작품을 봐야할지 모르기 마련인 이번 코엑스 D Hall에서 열리는 
2015화랑미술제는 총500여 명의 작가와 3200여 점의 작품들로 꽉 차있어서 
한 작품당 1분만 봐도 53시간을 소요할 수 있을 정도의 대규모 전시회다. 
처음 미술제를 접한 사람도 천천히 둘러보며 작품을 구경할 수 있고, 
혹 특별한 장르를 원하시는 분들은 플랫폼을 보면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 놨다. 
아이를 가진 부모도 올 수 있을 정도로 심오한 작품세계관이 아닌 
여가생활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생각한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처음 방문한 사람들을 위해 어느 방향으로 작품을 구경해야 하는지 
추천 코스를 알려주면 더 좋았을 듯하다. 
예를들어 “왼쪽방향으로 한블럭씩 돌아가며 보시는게 편합니다” 같은 말을 들으면 
세심한 배려에 더 감사가 나올 것 같다. 
또 다른점은 작가의 갤러리 앞에 테이블이 있는데 작가들이 그저 앉아있는 모습과 
아예 자리가 비어있는 모습을 많이 본 나로써는 처음 작품을 보는 방문자들에게 말로써 
조금의 설명을 해줬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작품속에 작가가 유도한 내용을 유추해 보는 것도 하나의 미술제의 묘미이기 때문이다. 
이 점들을 제외하면 사진을 자유롭게 찍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것과, 
테이블 위에 작가의 소개 및 몇 작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있어서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종이를 가져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여러작품과 색다른 구성으로 전혀 지루함을 느낄 수 없었으며, 
최대한 빨리 돌아도 1시간 40분이 걸려 1인당 8000원의 돈이 아깝지 않았다. 
지금은 끝났으나, 내년 또는 이런 느낌의 미술제가 열린다면 Art insight의 모든 분들게 추천해주고 싶다.

관련사이트: 화랑미술제

("글씨 눌러보시면 화랑미술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KakaoTalk_20150404_215231580.jpg



KakaoTalk_20150404_215237489.jpg



KakaoTalk_20150404_215456982.jpg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