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sight

아트인사이트에게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칼럼·에세이

 

 

레오폴트시리즈-클림트_표1(띠지O).jpg

 

 

빈 모더니즘의 시대를 연 거장의

삶과 예술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나다


세계가 사랑하는 황금빛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가 그림으로 완성한 예술가의 삶

 

 

2024년 11월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특별 전시가 열린다. 레오폴트 미술관의 소장품을 전시하는 이번 전시회를 기념하여 '구스타프 클림트'와 '에곤 실레'의 생애와 작품을 다룬 책, [황금빛을 그린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와 [욕망을 그린 화가, 에곤 실레]가 한경arte에서 출간된다. 스승과 제자 사이이자, 표현주의를 대표하는 두 천재의 작품들을 살펴보며 그들의 생애와 작품 세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구스타프 클림트(1862~1918)는 19세기 말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 중 한 명으로, 빈 분리파 운동의 창시자다. 그는 이 운동을 통해 변화를 반대하고 전통 예술을 비판했다. 클림트는 느리지만 멈출 수 없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쇠퇴와 그 배경이 된 다양한 문화에서 예술적 영감을 얻었다. 그는 에로티시즘과 관능미가 뛰어난 예술가로, 코코슈카, 실레와 함께 표현주의의 위대한 거장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이 책은 클림트의 다양한 작품, 연도별 대표작과 함께 이 위대한 예술가의 삶과 예술가로서의 여정을 담아냈다.

 

황금빛의 화가, 빈의 카사노바, 화단의 이단아, 분리파의 수장, 19세기 미술사의 거장…… 수많은 수식어를 가진 '구스타프 클림트'. 그는 전통을 따른 화풍으로 젊은 나이에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1896년 초부터 신체를 노골적으로 묘사하기 시작하며, 1897년에는 빈 미술가 협회에서 탈퇴하고 지인들과 빈 분리파라는 새로운 단체를 결성한다. 그들은 자신들만의 회관 '제체시온Secession'을 세우고, 건물 입구에 '각 시대에는 그 시대의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이라는 빈 분리파의 모토를 새겼다.

 

그는 금기시되던 임산부의 누드부터, 사실적이고 노골적인 신체표현으로 수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았다. 일본, 고대 이집트, 비잔틴 라벤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로부터 폭넓은 영향을 받은 클림트는 독특한 색채와 패턴, 평면적이고 2차원적인 원근법, 양식화된 이미지, 깊은 관능미로 가득 찬 세계에서 여성의 형상이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는 자신만의 에로티시즘한 작품 세계를 만들어냈다.

 

성공한 화가에서 스캔들 메이커가 된 문제작 [의학], '황금 스타일'의 정점이자 대표작인 [키스], 대담한 색체와 '팜 파탈'이란 새로운 여성상이 등장하는 [처녀] 등 클림트를 대표하는 유명 그림과 비교적 조명을 덜 받았던 그림들까지, 클림트의 작품 중 상징적인 그림을 선별해 소개하며 클림트의 생애와 예술사, 화풍의 변화를 알아본다.

 

클림트는 "나는 나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들, 특히 여성을 그리는 것에 흥미를 느낀다."라고 말하며, 여성을 모델로 한 그림을 특히 많이 그렸는데, 그가 그린 여성들은 기존의 둥근 몸과 편안한 이미지를 보여줬던 전통적인 19세기 아카데미 스타일과는 완전히 달랐다. 클림트가 그리는 여성들은 긴 머리를 풀고 있고, 가늘고 유연하며, 매혹적이고 노골적이어서 위협적으로 보이기까지 한다. 이는 은폐되고 억압된 당시 사회와는 상당히 동떨어진 그의 성에 대한 집착과 자유를 보여준다.

 

아름답고, 감각적이고, 무엇보다 에로틱한 구스타프 클림트의 그림에서 우리는 포스트모던의 삭막한 현실과는 거리가 먼, 풍족하고 여유로운 어떤 세상을 만나볼 수 있다. 그는 현실 세계는 거의 다루지 않고 우화, 초상화, 풍경, 에로틱한 인물들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러한 점에서 무엇보다 아름다움이 가장 우위에 있는 세상을 창조하고자 한 그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

 

제인 로고이스카(Jane Rogoyska) - 폴란드 출신의 영국 작가이자 영화감독이다. 케임브리지대학교 크리스티칼리지에서 현대언어로 석사학위를, 노던필름스쿨(리즈)과 폴란드국립영화학교(우츠)에서 영화제작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저서 [게르다 타로: 로버트 카파의 발명], [코즐로프스키](2020년 데스몬드 엘리엇상 최종 후보작), [살아남은 카틴](2022년 마크 린턴 역사상 수상작) 등으로 잘 알려져 있다.


패트릭 베이드(Patrick Bade) - 역사학자이자 작가, 방송인이다.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과 코톨드미술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수년간 예술교육기관인 크리스티에듀케이션에서 선임 강사로 일했다. 아트 펀드, 로열 오페라하우스, 내셔널 갤러리,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등지에서 근무했다. 저서로는 [음악 전쟁: 1937-1945]가 있다.

 

오승희 -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부룩) 문화인류학과를 졸업했으며, 홍익대학교에서 미술사로 석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삼성 미술관 선임 학예연구원, 한화그룹 63아트 미술관 전시총괄 임원을 역임했으며 홍익대, 상명대 등에 출강했다. 바른번역을 지향하는 글밥아카데미를 수료했다.

 

 

박형주이 에디터의 다른 글 보기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 ART insight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