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inion] 울부짖는 사랑, 최승자 "이 시대의 사랑" [도서]

글 입력 2019.09.01 10:30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내 안의 고독을 응시했을 때,
비로소 사랑을 깨달았다."
 

사랑을 한다면 누구나 “영원히 죽지 않는 태풍의 눈이 되고 싶”(p.84)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다르다. 사랑을 시작하는 순간 우리는 불안감에 빠진다. “숨죽이며 다가오는 삿대 소리”(p.88)는 우리로 하여금 괴로운 상상을 하게 만든다. 혹시 상대가 나를 떠나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들은 우리들의 마음 속 “풀숲으로 잠복한다.”(p.88) 그리고 상대방의 연락 부재는 이를 심화한다. 그리고 우리는 상대에게 “배가 고파 배가 고파”(p.85)라며 더 많은 사랑을 갈구한다.

최승자의 첫 시집 『이 시대의 사랑』을 읽었다. 영화 <그래비티>의 스톤 박사(산드라 볼록 분)가 느꼈을 기분이 이런 것일까. 이 시집을 읽는 동안 나는 주변의 것은 사라지고 진공의 공간에 나 홀로 남은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한 가지 물음에 도달했다.

사랑이란 무엇인가? 나를 설레게 하는 것, 나를 절망적인 현실에서 구원하는 것으로 생각하는가. 내 안의 고독을 오롯이 바라볼 수 있는 것이 사랑이라고 생각한다. 사랑은 구원이 아니다. 독자와 독자가 만나 같은 방향으로 걸어가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사랑의 함정에 빠져 이 사실을 망각한다. 상대를 내가 만든 이상적인 틀에 맞춰 보는 것이다. 산책로를 걸을 때 우상화된 상대와 실제 상대 간의 괴리는 보이지 않는다. 간극은 우리가 물 한 방울 없는 사막을 지날 때 드러난다. 서로에게 상처를 내기 시작한다. 상처는 곪는다. 우리는 그것이 썩어가 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터뜨릴 엄두를 내지 못한다. 고독함 때문이다.


최승자(1981)는 “짓밟히며 짓밟히며”(p.58)올곧게 응시한다. 이 과정은 그녀를 무력하고 우울하게 만드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녀가 마냥 우울하고 무기력한 것만은 아니다. 그녀는 “내일이면 후줄근해질 과거를/열심히 빨아 널고 있”(p.19)는 행위를 통해 이것을 보편적인 일로 확장한다.”우리의 손은 사랑하는 사람의 손을 찾”(p.16)으며 사랑을 하다가도 “나를 잠가 놓고 떠”(p.38)난 ‘널 버리고 싶’(p.38)기도 하다.


다들 그런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나에게 잘해주던 사람이 갑자기 나에게서 등을 돌렸을 때. 돌아오지 않을 사람을 기다리며 “외로움을 장전”(p.66)하거나 “주인 없는 헤진 신발마냥/빈 벌판을 헤”(p.36)매기도 한다. 이렇듯 최승자의 사랑은 영원한 행복이 아닌 “집과 거리와 나무들이 소리 없이 흔들리며 세상을 향한 울음의 통로를 만.”(p.76)들고 그녀의 “늑골도 하염없이 깊어”(p.76)지게 만드는 것이다.


그녀는 이 감정에 체념하지 않고 이를 딛고 일어서려는 의지를 보인다. “다시 한번 최후로 찔리면서(p.36) “내 속에서 커가는 이 치명적인 꿈을 아주 똑똑히”(p.76)본다.


밀물과 썰물처럼 최승자는 고독감에 잠겼다가 그것을 이겨내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최승자로 하여금 “일찌기 나는 아무 것도 아니었다. (중략) 아무데서나 하염없이 죽어 가면서”(p.13)라는 자기인식을 하게 만든다. 이 인식은 “긴 몸뚱어리의 슬픔”(p.82), 더 나아가 “어둠의 자손, 암시에 걸린 육신”(p.82)으로 확장된다. ‘아무 것도 아’닌 최승자는 감정의 충돌을 포용한다.


상대가 나를 외롭게 만드는 것을 견디라는 뜻이 아니다. 상대에게 매몰되지 않고 나를 유지하는 것을 뜻한다. 연인 사이는 24시간 켜져 있는 간판처럼 끊임없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만날 때마다 전류가 흘러야 하고, 새로워야 한다고 그렇게 믿었다.


나는 이것이 나를 힘들게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최승자의 시집처럼 온전히 혼자만의 시간을 즐길 수 있을 때, 내 안의 고독을 직시할 때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 우리 시대의 진정한 사랑은 고독감에서 출발한다. 고독감을 통해 우리는 불필요한 정보들을 정리할 수 있다. 같은 사진이 수십 수백 장 저장된 우리의 핸드폰 갤러리처럼, 마음은 내가 쌓아놓은 상대의 이미지와 불안감으로 가득하다.


고독함을 즐길 수 있을 때 버려야 할 것이 보이고, 여백이 생긴다. 여백은 상대의 새로운 면을 품을 수 있게 한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상대를 깊이있게 본다. 고독과 사랑은 분리할 수 없다. 고독의 맛과 사랑의 맛을 음미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성숙한 인간으로 거듭날 것이다.



141.jpg
 



김나영.jpg
 

[김나영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12.01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