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그림책을 좋아한다. 특히, 그 안의 그림을 좋아한다. 그림책에서 글이 빠져도, 그림책이라 부를 수 있지만, 그림이 없으면 그림책이라 부르기 어렵다. 그만큼 '그림'은 그림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글 없이도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는 요소라고 생각한다. 책 귀퉁이에 그려진 작은 그림까지도 유심히 눈에 담아내던 아이는, 자라면서 자신에게 따뜻함을 주었던 그림책을 언젠가 직접 만들어보고 싶다는 소망을 품게 되었다. 하지만, 책을 제작한다는 것은 나에게는 너무 막연하고도 먼일처럼 느껴졌고, 그런 나에게 <그림책 작가와 함께하는 그림책 만들기 7단계>는 그 막연함을 어느 정도 해소해 주었다.
이 책은 그림책을 만드는 단계를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1단계 – 그림책 산책
2단계 – 아이디어 심기
3단계 – 한 장면 그리기
4단계 – 이야기 가꾸기
5단계 – 스토리보드 줄기
6단계 – 그림 꽃 피우기
7단계 – 열매 맺기
각 단계를 따라가며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 특히 더 궁금했던 부분에 집중해서 읽으면 좋을 것이다. 나의 경우, 아이디어는 많은데, 이를 어떻게 풀어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많았기에 표현 방법에 대한 내용을 읽으며 영감을 얻었다.
그림책의 형태와 시각적 연출의 힘
먼저 그림책의 구조와 물성에 대해 알아보며, 그림책을 이해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림책은 표지, 면지, 속표지, 내지, 판권면으로 나뉘는데, 각 면이 지닌 기능을 이해하고 잘 활용해야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크기와 비율, 모양과 두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만큼, 그림책의 내용과 그림의 특성에 따라, 어떤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좋을지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최근 콘텐츠 제작 업무를 하며 레이아웃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있었는데, 이 책은 그런 시각적 구성의 다양성과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다시금 나의 창작욕을 불태웠다. 가로로 긴 프레임, 세로로 긴 프레임 등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시도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또한, 대상을 다양한 시점으로 스케치한 예시를 보며 연출의 시각을 넓힐 수 있었다. 보통 그림을 그릴 때 전체적인 모습을 제 3자의 시각에서 그려내곤 했는데, 그림책과 같이 이어지는 이야기를 그릴 때는 내가 강조하고 싶은 부분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풀어낼 수 있을 것 같다. 예를 들어, 똑같은 인물이라도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에서 그려내면 위축된 느낌을 주고, 반대로, 아래에서 올려다보는 시점에서는 위풍당당한 인상을 주며 전혀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돌아가는 세탁기를 '세탁물'의 시선에서 그려낸 예시 역시 의외의 시점에서 장면을 재밌게 풀어낸 표현법이다.
작업을 지속하게 하는 힘
이 책의 다른 묘미 중 하나는 각 단계마다 수록된 <작가들의 대화>다. 출간 경험이 있는 작가들의 대화를 읽으며, 동화책 작가라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현실적인 어려움, 작업 과정 비하인드를 엿볼 수 있었다. 특히 공감이 갔던 것은 직업과 삶에 대한 균형을 맞추는 방법이었다. 그림책 출간까지는 1년 이상이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긴 시간 동안 작업을 하며 수정을 거치다 보면, 작업 동기가 약해지고 불안이 높아진다고 한다. 이런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윤나라 작가가 고안한 방법은 '1년에 그림책과 관련된 일을 하나 하기', 예컨대, 더미북(샘플북)을 한 권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1년이라는 시간 동안 무언가 했다는 결과가 있어 안심이 된다고 한다. 이렇듯, 직업을 가지며 삶의 행복을 지키기 위해서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지치지 않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문에서 저자는 그림책 만들기 수업의 첫 번째 목표를 '완성'이라고 말한다. 좋은 아이디어나 콘셉트가 머릿속에 머물고, 단순 나열된 그림과 글로 남는 것과 실제로 책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책이라는 틀에 담긴 이야기를 한 페이지씩 넘겨보는 것으로 비로소 그림책은 완성된다. 글을 쓰는 사람의 입장에서 "불완전하더라도 꼭 마무리해 보라"는 저자의 당부가 여실히 와닿았다. 글 또한, 내 머릿속에 머물면 나만 아는 이야기가 되지만, 뱉어내고, 다듬는 단계를 통해 완성되었을 때, 독자에게 읽혔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 아트인사이트 활동을 하다 보니, 한 달에 두 편이상은 글을 쓰게 되는데, 시간은 많이 들지만, 탄생한 이야기를 보고 있자면, 뿌듯함을 느낀다. 완성된 책을 받아본 작가의 또한, 그런 벅찬 감정을 느끼리라 짐작해 본다.
이 책은 그림책 제작이라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길에서, 독자가 길을 잃지 않도록 길목마다 친절하게 이정표를 세워준다. 각 장마다 <생각해보기, 수업팁>, <실전 과제, 활용팁> 섹션을 제공하며,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돕는다. 항상 마음속으로만 생각하던, '그림책 제작'의 꿈이, 이제는 더미북까지라도 한 권 만들어보고 싶다는 소망으로 한 단계 더 조심스레 틔워졌다. 이 책이 그림책 작가를 꿈꾸는 또 다른 이들에게도 따뜻한 출발점이 되어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