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sight

아트인사이트에게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칼럼·에세이

 

 

 

류승완 감독은 늘 영화에 대한 열정이 들끓는 한 소년 같다.

 

그런 소년이 처음으로 영화계에 크게 한 방을 날린 작품이 이 영화일 텐데 당시 이 영화를 본 관객은 꽤나 충격적이었을 것이다.

 

무슨 의미인지 이전엔 잘 이해가 되지 않았으나 결국 영화를 볼수록 차차 그 의미를 알아갔다. 최악 혹은 최악 보다 덜 나쁜. 둘 다 어쨌든 결코 좋은 결말이 아닌 최악이라는. 이는 동생과 형을 뜻하는 것일 터.

 

 

[크기변환]패거리 (1).jpg



영화가 화면비가 작은 필름으로 찍히기도 했고 아마 제작비가 부족해서 그런지 조금 엉성한 부분이 많이 보인다.

 

화면의 때깔이라고 해야 할까, 일부로 날 것의 느낌을 더하기 위해 러프하게 찍은 걸 수도 있지만, 이 영화는 상업영화라기보단 독립영화에 가까운 인상을 준다. 그렇기에 이 영화의 맛이 더 살아난 것 같다.

 

류승완 감독은 집단 싸움신을 참 잘 찍는 것 같다. 액션이라는 것 자체가 카메라의 각도도 그렇고 여러 번의 테이크를 가져야하고 인물의 동선도 다 신경 써야 하기에 정말 어려운 촬영일 텐데 거기다 인물의 수까지 많다면 더 어려울 것이다. '짝패'에서도 느꼈지만 그런 군중 싸움신을 이렇게 맛깔나게 찍는 감독이 우리나라에 또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류승완 영화는 약간 대사도 그렇고 흡사 80~90년대 만화를 보는 듯한 느낌도 든다. 굉장히 유치한 듯 하고 당시 남자들의 로망 혹은 낭만을 영화적으로 풀기 위해 애쓴 느낌도 든다. 그래서 그가 여전히 소년처럼 보이는 것일까. 그가 찍는 지금의 영화는 그의 초창기 영화와는 사뭇 다른 느낌이 들긴 한다.

 

영화를 사랑한 한 소년이 우리나라 영화계의 커다란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크기변환]패거리 (2).jpg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류승범의 연기. 왜 다른 인물들은 어색하고 작위적인 느낌이 드는 반면 류승범만은 마치 그 인물 그 자체 같을까.

 

그 특유의 껄렁거리는 말투와 찰진 욕들, 개성 넘치는 양아치 같은 페이스 등 그를 특정 짓는 많은 요소들이 이 영화에 한데 뭉친 것 같다. 그래서 그가 없었다면 이 영화가 무척 뻔한 삼류 양아치 물처럼 느껴졌을 수도 있을 것이다.

 

 

[크기변환]류승범 얼굴.jpg



그는 이 영화에 하나의 색깔을 입혔다 볼 수 있을 정도로 큰 힘을 발휘했다.

 

류승완은 주연으로 출연했지만 전혀 작품에 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제 역할의 연기를 다 한 것 같다. 총 4편의 단편으로 이뤄진 옴니버스 형식의 이 영화는 모든 에피소드가 제각각의 매력을 지닌 작품이지만 역시나 그중에서 마지막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의 에피서드가 맘에 들었다.

 

동생이 칼받이로 간 집단 패싸움씬과 형과 친했던 옛친구와의 싸움신을 교차로 보여주며 형은 눈을 잃고 친구를 죽이고 동생은 칼에 찔려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며 쓸쓸한 ost가 깔리며 맞는 엔딩이 인상적이었다.

 

그 뒤 나오는 성경 구절과 보이스오버로 들려오는 형과동생의 대화. 이게 뜻하는 건 결국 자기 길이라고 믿었던 철없던 동생이 결국은 형이 하는 말을 들어야 했음을 암시하는 듯했고 더 이상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사실이 비통했다.



[크기변환]군중.jpg



데뷔작부터 지금까지의 류승완의 작품은 많이 변화를 많은 듯해 보이면서도 여전히 그는 자신이 찍고 싶은 영화를 어떻게든 찍어내는 그 열정만은 여전히 품에 안고 실천해 나가는 듯하다.

 

모든 감독이다 그런 건 아니어도 대부분의 감독이 데뷔작부터 자신이 온전히 바라는 작품을 찍기는 어려울 텐데 자신의 확고한 의지로 타협 없이 자신이 원하는 무언가를 완고하게 찍어낸 느낌마저 드는 그런 데뷔작이 아닐까 한다.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