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sight

아트인사이트에게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칼럼·에세이

 

 

세로형_700x980.jpg

 

 

동그란 눈과 작은 입으로 남녀노소 모두에게 사랑받은 흰색 토끼, 미피! 네덜란드 일러스트 작가 딕 브루너의 손끝에서 탄생한 미피는 올해로 70번째 생일을 맞이했다. 우리의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함께 해온 미피의 일생부터 딕 브루너의 이야기까지, 전부 전시 <미피와 마법 우체통>에서 만나볼 수 있다. 미피의 발자취를 따라 미피의 이야기를 구경하며 느낀 점과 관람 포인트를 되짚어 보려고 한다.

 

먼저 이번 전시의 핵심은 ‘아날로그’와 ‘미디어’의 융합이다. 미피가 올해 70주년을 맞이한 만큼 그동안 책이나 스케치 등의 아날로그적인 콘텐츠가 많이 쌓여 왔다. 따라서 우체통, 편지 등의 이번 전시의 테마가 이러한 미피의 특징을 극대화한다고 느꼈다. 미피의 이야기들을 담은 책을 함께 볼 수 있도록 전시되어 있으며, 미디어 인터랙티브를 통해 관람객들이 직접 미피의 이야기 속에 들어갈 수 있는 장도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들을 통해 평소 책이나 인터넷 속에서만 마주하던 미피를 바로 앞에서 함께하는 기분이 들었다.

 

 

미피 전시회-1.jpeg

 

 

이 전시는 9개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거대한 마법 우체통으로 전시의 시작을 알리는 공간부터 미피의 집, 친구들이 모여 있는 스퀘어, 꿈나라를 거쳐 최종적으로 미피의 생일파티 현장에 우리를 데려 간다. 미피의 생일 기념으로 열린 전시인 만큼 미피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이웃들이 미피의 생일을 축하해 주는 등 주변 인물들의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어 새로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곳곳에 미피에게 전하는 이웃들의 편지가 숨겨져 있어, 이를 찾는 재미도 있다.

 

특히 케이크 가게를 운영하는 바바라는 “케이크는 먹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지지만, 결국 누군가와 함께 나눠 먹는 것 때문에 더 행복한 게 아닐까? 나누는 기쁨을 알려주려고 케이크가 이렇게 크게 생겼을지도 몰라!”라는 메시지를 남겼다. 이는 함께와 나눔의 행복을 알려주며 아이들에게 일상 속 소소한 교훈을 전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딕 브루너의 작업 과정과 철학을 엿볼 수 있는 공간도 함께 마련되어 있다. 필자는 이 공간을 통해 딕 브루너가 어떤 마음가짐으로 어린 아이들을 위한 책을 제작했는지, 미피에 어떤 의미를 담고 싶었는지 등 미피라는 캐릭터의 오프 더 레코드를 알 수 있었기에 가장 기억에 남았다.


 

"부모들은 책을 보고 너무 단순하다고 했지만, 아이들은 책을 집어 들고 부모님께 사달라고 애원했어요. 그때, 계속해서 어린이를 위한 책을 만들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저는 정답이 될 때까지 많은 것을 버립니다. 본질적인 것만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형태는 상상을 불러일으키기에 그 상상이 펼쳐질 수 있도록 많은 공간을 남깁니다. 그것이 생략의 예술이며, 단순함의 힘입니다."

 

  

딕 브루너의 철학을 한 마디로 말하자면 “Less is more”.

 

그는 우리의 상상력으로 채워 나갈 수 있는 여백을 그림 속에 남겨 간결함의 미학을 보여 주었다. 특히 그가 추구했던 단순함의 미학은 미피의 감정 구현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단순함 속에서도 미피의 표정을 통해 감정 변화를 잘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호기심과 즐거움을 나타낼 때는 평소보다 눈동자를 넓고 크게 그렸으며, 수치심을 표현할 때는 눈과 입을 작게 그렸다.

 

이처럼 딕 브루너는 간단하면서도 알기 쉬운 요소들로 미피의 감정을 구현하며 단순함 속 세심함을 보여 주었다. 미피를 통해 덜어냄의 미학을 보여준 딕 브루너는 간결한 그림체에 비해 깊은 울림을 주는 이야기로 전 세계 대중을 사로잡았다.

 

이 전시에서 미피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어른이 된 후로 까맣게 잊고 있던 동심으로 돌아가게 만든다. 또한 단지 귀엽다는 이유로 미피를 좋아했던 어린 시절과 달리, 어른이 된 이후 마주한 미피의 이야기는 다른 느낌이었다. 어릴 적에는 잘 몰랐던 슬픔, 후회 등의 미피가 가졌던 복잡한 감정이나 다른 이웃들이 가진 다양한 서사를 이제야 완전히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지난 70년간 미피는 어린 아이에게는 즐거움을, 어른에게는 향수를 선사했다. 그동안 늘 우리 곁에 있으면서 동심과 교훈을 책임진 미피에게 고맙다는 말과 함께, 생일 축하한다고 전해주고 싶다.

 

 

 

정민경.jpg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