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기술 그리고 물의 이미지로 새로운 모성을 탐구하다 - 내가 물에서 본 것

글 입력 2024.10.26 14:57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IMG_6074.jpeg

 

 

국립현대무용단의 신작 <내가 물에서 본 것>이 지난 10월 17일부터 19일까지 LG 아트센터 서울에서 공연되었다. 2022년 한국의 신생아 10명 중 1명이 시험관 시술로 태어날 만큼 보조생식기술은 이미 일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을 둘러싼 기존의 서사들은 여성의 몸을 '주체성'과 '대상화'라는 이분법으로 재단하거나, 그 과정을 단순히 '성공'과 '실패'로 환원해왔다. 김보라 안무가는 자신의 시술 경험을 바탕으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과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관점에서 이를 새롭게 조명한다. 작품은 기술과 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지, 그 다층적이고 복잡한 과정을 무용의 언어로 표현해 나간다.

 

 

 

'도구로서' 기계와 상호작용하는 여성의 신체


 

공연은 여성의 월경을 일종의 '리모델링'으로 표현하며 시작한다. 무대는 투명한 파란색 셀로판 테이프가 마치 물결처럼 출렁이며 펼쳐져 있다. 조명을 받아 반짝이는 표면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물의 질감을 만들어낸다. 무용수들은 그 속을 헤엄치듯 미끄러지는데, 살빛이 드러나는 의상과 파란 셀로판의 대비는 마치 의료용 스크린 속 생체 조직을 들여다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무용수들이 테이프를 조금씩 걷어내기 시작하면, 그 움직임은 새로운 가구의 포장을 뜯는 것처럼 기계적이면서도 의례적이다.


월경의 기전은 자궁내막이 탈락하여 질을 통해 출혈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새로운 주기의 시작임과 동시에 임신의 실패를 나타낸다. 안무가는 이 순간을 물화된 신체의 재포장으로 표현하며, 의료 기술이 실행되는 장소로서의 몸, 그리고 그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몸의 구체적인 경험을 포착하기 시작한다.


이윽고 무대의 천장에서 물이 담긴 양동이가 천천히 내려오고, 물이 무대 위로 흩뿌려진다. 이곳저곳에 놓인 계란들 사이로 공연자들이 물을 튀기며 전력질주를 한다. 그들의 발자국 소리와 물이 튀는 소리가 만들어내는 긴장감은 한 순간에 깨어진다. 결국 한 공연자가 계란을 허공 높이 던져 깨트린다.


바로 이 장면은 시험관 시술에서 가장 결정적인 순간을 포착한다. 자연스러운 배란 과정에서 난포는 에스트로겐 수치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스스로 파열되어 난자를 방출한다. 그러나 시술 과정에서는 이 순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난포 채취라는 의료적 절차는 이처럼 폭력적이면서도 의례적인 순간으로 무대 위에 재현된다.


마침내 체취한 난자는 급속 냉동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이후 필요할 때 해동되어 체외수정을 한 후 배아를 키워 자궁에 다시 이식한다.


이때 공연은 바깥으로 강제로 꺼내어진 난자의 시점으로 전환된다. 그러면서 장재호 사운드 디자이너의 음악들이 분위기를 주도하기 시작한다. 무용수들의 발걸음 소리, 몸을 비비는 소리, 의료 기계들의 소리는 컴퓨터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작되는데, 이는 마치 물속에 잠긴 듯한 낯선 파찰음이 된다. 결과적으로 이 소리들은 심장 박동처럼 자연스러운 리듬을 만들어내며, 관객들로 하여금 난자의 시점에서 의료 기술과 만나는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물과 양수 그리고 모성


 

많은 창조 신화에서 우주는 원초적인 물에서 탄생했다고 이야기한다. 바빌로니아 신화의 티아마트는 혼돈의 바다를 상징하는 여신으로, 세상의 근원이 되는 동시에 무시무시한 파괴의 힘을 가진 존재다. 힌두교에서 갠지스 강의 여신 강가는 정화와 축복을 상징하지만, 때로는 범람으로 도시를 삼키기도 한다. 서아프리카의 물의 여신 마미 와타는 풍요와 치유의 능력을 가졌으나, 폭풍우로 뱃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한다. 이처럼 물과 모성은 오랫동안 생명과 죽음, 보호와 파괴라는 양면성을 공유해왔다.


모성 신화는 현대에 이르러 이러한 양면성은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된다. 봉준호 감독의 <마더>는 지적 장애가 있는 아들을 살인 혐의에서 구하려는 한 어머니의 이야기를 통해, 모성애가 어떻게 광기와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박찬욱 감독의 <친절한 금자씨>는 딸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계획하는 어머니를 통해, 보호의 본능이 어떻게 파괴적 형태로 변모하는지를 그린다. 이들 작품에서 모성의 양면성은 여전히 인간의 의지나 광기를 통해 드러난다.


김보라 안무가의 <내가 물에서 본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작품은 안무가의 실제 시험관 시술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 의료 기술을 통한 모성의 새로운 양상을 포착한다. 난자를 채취하고, 냉동하고, 다시 해동하는 과정은 더 이상 순수한 자연적 과정도, 인간의 의지가 만들어낸 결과도 아니다. 작품이 '창조신'을 '어머니'가 아닌 '기계'로 표현하는 것은 바로 이 지점에서다. 이는 인간과 기술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차원의 모성, 즉 포스트휴먼 시대의 모성을 암시한다.


물의 이미지는 이러한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더 이상 물은 단순히 자연적 생명력이나 파괴력의 상징이 아니다. 시험관 속 배양액에서부터 냉동 보존에 이르기까지, 물은 자연과 기술, 인간과 기계가 만나는 경계이자 매개체가 된다. 작품은 이를 통해 포스트휴먼 시대에 모성이 어떻게 재정의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탐구한다.

 

 


고도화된 문명 속에서 재정의된 모성


 

시험관 시술은 더 이상 특별한 의료 시술이 아니다. 그것은 이제 하나의 선택지가 되었다. 이는 단순히 기술의 보편화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모성 자체가 재정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조생식기술의 발전은 생명 창조가 자연과 기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이루어지게 만들었다.


이러한 변화는 모성을 둘러싼 시간성마저 바꾸어놓았다. 난자 냉동 보관이 가능해지면서 '생물학적 시계'는 더 이상 절대적 제약이 아니게 되었다. 출산의 시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적령기'라는 개념을 해체하고, 여성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러나 이것이 모성의 완전한 통제나 자유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새로운 형태의 제약이 등장한다.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종종 "해야 한다"는 당위로 변모한다. 현대 사회는 여성에게 성녀와 창녀라는 모순된 정체성을 동시에 요구한다. 여성은 정숙하고 모성적인 존재이면서도 매혹적이어야 하고, 순결하면서도 성적 매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이중 잣대는 생식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형태로 나타난다. 난자 냉동과 시험관 시술이라는 '현대적' 선택은 전통적 모성을 위한 것이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여성의 몸은 철저히 통제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내가 물에서 본 것>은 단순한 재현이나 경험 고백을 넘어선다. 작품은 기술-신체-예술의 관계를 다층적으로 보여주며, 포스트휴먼 시대의 새로운 신체성을 제시한다. 시험관 시술 과정에서 여성의 몸은 기술의 대상이 되지만, 역설적으로 이 과정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주체성을 획득한다. 종교적 의례는 기술적 의례로 전환되고, 기계음과 생체음의 경계는 모호해진다. 이러한 순간들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형태의 숭고는 기술과 신체의 관계를 재고하게 하는 동시에, 현대 무용이 나아갈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신동하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12.10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