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반쪽짜리 진실

잘려나간 내용, 실리지 못한 맥락
글 입력 2022.06.16 13:24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인터넷은 확산이 빠르다. 어느 한 곳에 새로운 정보를 담은 글이 올라오면 금세 온갖 커뮤니티에 퍼진다. 같은 글이 약간의 시간 텀을 두고 여러 군데에서 보이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그 글을 하나의 정보로 인식하고 내용을 공유하는 경우를 몇 번 보았다. 비슷한 주제가 나오면 마치 정해진 답처럼 사람들이 같은 출처의 이야기를 반복, 확산하기도 했다.

 

그게 확실한 정보인지, 옳은 사실인지에 대한 사실 판단은 생략되고 여러 사람의 입을 통해 전해지면서 기정사실이 되었다. 가만 보면 '그렇다고 하더라'인데 여러 사람의 입을 통하니 마치 '진짜 정보'인 것처럼 퍼져나간다. 그런 상황을 몇 번 목격하고 나니 무엇을 어디까지 믿어야 하는지 헷갈리기 시작했다. 심층적인 이야기는 논문이나 관련 서적을 찾을 수 있는데 어중간한 정보는 아는 사람이 전해주는 이야기 같은 글이 사실이 되고 정보가 되어버린다.


한 예로 인터넷 커뮤니티에 에디 애덤스에 관한 일화가 사실 정정처럼 올라온 적이 있다. 과거 케이블의 한 프로그램에서 애덤스가 사진의 진실을 30년 후에야 고백했다는 내용을 캡처한 것인데 이것이 사실이라는 공식적인 기록은 없으며, 진실을 밝히고 사죄했다는 장면 다음에 등장하는 문장은 사과문이 아니라 애덤스가 작성한 로안에 대한 추도사의 일부였다.

 

 

eddie.jpg


 

문제가 된 사진의 내용은 이렇다. 로안 장군이 사복차림의 베트콩 테러리스트인 렘을 향해 권총을 발사한다. 렘은 여성부터 아이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람을 살해하였으며, 피해자 중에는 로안 동료의 가족이 포함되어있다. 로안이 렘을 즉결처형한 이유는 부하가 지시를 이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자신이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부하들이 자신을 따르지 않을 것을 염려했기 때문이다. 제네바 협약에 따르면, 렘은 즉결처형 대상에 해당된다.


그런데 미국인들은 이 사진을 선량한 시민을 살해하는 전쟁의 참상으로 오해를 하고 반전 시위에 나서게 된다. 사진에는 즉결처형에 대한 맥락과 로안이 전쟁 중에도 병원을 짓기 위해 노력한 내용이 담기지 않았고, 사진을 본 많은 이들은 자신의 판단이 진실이라고 믿었다. 잘못된 오해로 인해 로안은 베트남에서 탈출하여 부상 치료를 위해 호주에 갔을 때도 치료를 거부당했으며, 동료의 도움으로 미국에 도착했지만 이민국은 로안을 추방시키려고 했다.

 

애덤스는 베트남전 당시 로안과 함께 베트남을 돌아다녔고 이후에는 연락을 주고 받는 친구사이가 되었다. 자신의 사진이 불러온 오해로 인해 로안이 미국에서 추방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이민국에 올바른 증언을 했다. 당시 자료는 남아있지 않지만, 사진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텔레비전에 출연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사진이 퍼지고도 수 십 년간, 사람들의 오해는 풀리지 않았다.


90년대까지도 오해는 정정되지 않자 로안은 사업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로안이 운영하는 식당 화장실에는 네 정체를 알고 있다는 욕설이 적혀 있었다. 그럼에도 로안은 애덤스를 탓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애덤스가 그 사진을 찍지 않았더라도 그곳에 있던 누군가가 찍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애덤스가 쓴 로안 추도사의 일부이다.

 

 
이 사진에서 두 사람이 죽었습니다.
장군은 베트콩을 죽였고, 나는 카메라로 장군을 죽였습니다.
(...) 조작되지 않은 사진도 거짓말을 합니다.
사진은 반쪽짜리 진실일 뿐입니다.
 


애덤스는 자신이 로안의 인생을 망쳤고 그로인해 죄책감과 미안함을 안고 있었는데 이게 과연 그의 사진 때문인지는 생각해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1970년대 많은 사람들이 한 장의 사진만으로 로안을 심판하려고 들었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오해가 정정되면서 화살은 이제 애덤스에게로 향한다. 그 시절 사진에는 맥락이 담기지 못하고 잘려나가 사람들이 단면을 보고 오해했다. 전후 상황을 알아보거나 다른 자료를 찾는 대신 본인의 분노를 표출했다. 비난의 화살이 돌고 돈다.


우리는 글이 이끄는 대로 사고하는 과정에 익숙해지고 있는 지도 모른다. 어쩌면 거리를 두어야 오히려 제대로 보게 되는데 그걸 모르고 지나치는 중일지도.

 

 

참고자료

"Eddie Adams' iconic Vietnam War photo: What happened next", BBC, 2018.01.29.

Richard Stockton, "The Story Behind Eddie Adams’ Iconic “Saigon Execution” Photo, ati, 2017.05.04.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04.19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