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sight

아트인사이트에게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칼럼·에세이

 

 

《2084: 스페이스 오디세이》 전시는 2024년 11월 7일 목요일부터 11월 30일 토요일까지 운영하며 문화역서울284와 서울문화재단이 협력하여 주관한 전시이다. 《2084: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2010년 서울문화재단이 시작한 ‘언폴드엑스 Unfold X’의 행사 중 한 가지로, 기술에 영감을 주는 예술을 제시하려는 목표를 가진다.

 

 

20241113194355_bzunvivh.jpg

 

 

해당 전시의 ‘기획의 글’을 인용하여 짤막하게 소개하는 문장으로 글의 서문을 열겠다.

 

["《2084: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가까운 미래인 2084년을 배경으로 현재를 조명합니다. 전시는 테크놀로지가 제공하는 새로운 시공간에서 과거, 현재, 미래가 연결되고, 마이크로 생태계부터 우주까지 시간과 공간의 경계가 흐려지는 현상을 추적합니다. 이는 마치 미래 세대나 외계생명체에게 현재를 이야기로 전달하는 서사시와 같습니다."]

 

본 전시를 관람하게 된 계기는 단순명료했다. 한 SNS의 동영상에서 ‘외계인이 나올 것 같은 이 전시를 아시나요?’ 하는 문구와 함께 홍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외계인 같은 것을 아주 좋아하는데, 그 이유는 초월적인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 초월적인 대상을 느끼고 싶어서 이 전시를 관람하기로 했다고 할 수 있겠다. 실제로 이 전시에 대해 무지한 상태로, 게다가 ‘외계인 전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외계인 전시가 아닌 외계인 전시를 본 소감을 글의 초반에 배치해보겠다. 말 그대로 ‘인간이 만든 외계인’ 같았다. 아주 만족스럽기도 했고 동시에 아주 거대한 SF 단편 소설 한 편을 본 기분이었다. 지구의 탄생부터 종말까지. 시공간을 넘은 차원의 세계를 3차원에서 느껴보고 싶은 이가 있다면 한 번 권유해 볼 만 하다.

 

 

 

경계의 너머, 넘어서


 

20241113194447_lkfnbrfb.jpg

 

 

첫 번째 섹션, 고래의 노래에서의 첫 작품이자 전시장을 입장하자마자 보이는 첫 작품인 <경계> (2024)는 초청 작가인 메모 악텐의 비디오 아트이다.

 

마치 우주의 행성 폭발을 이미지 구상화해 만든 영상 같기도 하다. 물에 물감 한 방울을 띄운 것 같기도 한, 이 비디오 아트는 한 섹션을 보고 다음 섹션을 볼 때 지나치는 로비에 설치되어 있다. 섹션과 섹션을 연결하는 그 사이 공간에 설치된 <경계>를 통해 한 섹션의 경계의 너머, 넘어서 그곳으로 향할 수 있다.

 

 

 

인문의 테크놀로지


 

두 번째 섹션, 시공의 함선의 작품 중 하나인 지구물질인간존재도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양숙현의 AI를 사용한 관객 참여형 전시이다. 가장 재밌었다면 재밌었다고 할 수도 있는 전시 중 하나로 손꼽을 수 있다.

 

돌멩이의 외형을 한 마우스를 이용해 이리저리 돌리며 생년월일을 8글자로 입력하면, 동양의 만세력이라고 하는 동아시아의 의미 달력 주기로 데이터를 변환한다. 태어난 연도, 달, 일에 따라 천간과 지지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이를 통해 느끼는 바를 시로 제작한다. 그리고 이 시를 읽고 느끼는 바를 또다시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총 두 개의 작품을 즉각 제작해내는 것이다.

 

나의 생년월일을 입력해 받아본 시와 이미지는 아래와 같다.


["In a Flashpoint of minerals elements whirl and ignite, A laser of secrets carves whispers in the stone’s embrace, Beneath the vast savanna, life breathes in tranquil cadence. / 광물의 불꽃 속에서 원소들이 소용돌이치고 불타오르네. 돌의 포옹 속에서 속삭임을 새기는 비밀의 레이저, 광활한 사바나 아래에서 생명은 평온한 리듬으로 숨 쉬네."]

 

 

20241113194546_klwldgcd.jpg

 

 

 

미래의 유적


 

마지막 섹션의 제목은 소제목인 ‘미래의 유적’이다. 세 번째 섹션은 소개하지 않고자 한다. 해당 전시는 2084년이 되어 현재를 고고학적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제시한 것이다. 유적은 과거의 것. 미래의 유적이라는 존재 불가능한 단어로 만들어진 세 번째 섹션은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이 관람객이 되어 직접 직면할 수 있길 바란다.

 

세 번째 섹션이 유독 특별하다거나, 이 전시의 하이라이트라서 등의 이유가 아니다. 단순한 후기임과 동시에 누군가에겐 홍보의 글 또는 같은 감상을 나눈 글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해하지 않고자 고의적으로 공란 ‘__’을 배치했다.

 

내가 바라본 가장 인간적인 외계 전시 《2084: 스페이스 오디세이》를 남은 가을 동안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20241113195059_zmehepud.jpg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