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바리톤 부크하르트 폰 푸트카머 초청 콘서트-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

글 입력 2014.12.29 15:06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fbQOzB1X.jpg

 
 
 

 
 
바리톤 부크하르트 폰 푸트카머 초청 콘서트-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
 
 
 
지난 주말, A가 추천해 준 영화 목록 중 끝까지 아껴 두고 보지 않았던 <피아니스트의 전설>을 관람하였다. 서로의 취향이 워낙 다른 관계로 크게 다툴 일도 없지만 그만큼 공감하는 점도 꽤나 상이한 사이인 사람. 그렇지만 내 사람인 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좋아하는 영화를 봐야만 할 것 같았고 (배려도 연애의 한 소통 방법이니까) 피아노를 좋아하는 그가 강하게 추천해 준 이 영화만큼은 깊이 있게 보는 게 좋을 것 같아 시간을 내서 관람하였다.
 
 
내용인 즉, 피아노 천재로 거듭난 인물이지만 배 안에서의 모든 것이 세상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그는 사랑도, 성공도 모두 두려움 속에서 결국 포기하게 된 게 아닐지라는 생각을 하게끔 하며 열린 결말로 마무리를 지었다. 결국 이 영화에서 내가 공감했던 부분은 바로 사람이란, 보고 싶고 듣고 싶은 면에서 모든 걸 추구하려는 성향이 강하다라는 점이었다. 결국 사람은 자신의 경험을 전제로 모든 걸 의미 부여를 하는 존재가 아닐지자신의 음악을 좋아해 주고, 함께 즐기며 기뻐하는 이들의 모습에서 주인공은 음악을 해야 하는 이유를 찾았을 것이고, 인생의 의미를 되새겼을 것이다. (A , 심층적으로 분석하려 들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면 안되냐 라는 소리를 했다)
 
 
아무튼, 이렇게 인상 깊었던 점들을 나열하다 보니 음악과 피아노, 그리고 그 안에서 펼쳐지던 모습들은 12 22일 관람한 공연에도 오버랩되며 또 하나의 추억을 안겨 주었다. 과정을 이야기하면 길어지는, 야근을 하다 못 가게 될까 초조해하다 관람하게 된 올 한 해를 마무리 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았던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진행된 <바리톤 부크하르트 폰 푸트카머 초청 콘서트-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 후기를 포스팅하고자 한다.
 
 
이번 공연은 올해 공연 중 가장 호화스럽고 눈과 귀가 다채로웠던 공연 중 으뜸이었다. 올 초 개관한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슈베르트의 가곡과 겨울 풍경을 고스란히 자아낸 미디어월이 함께 한, 이후 맛난 핑거푸드와 와인이 함께 한 파티까지. 영화 <피아니스트의 전설> 선상 파티 장면처럼 모든 게 즐겁고 기대되고 흥분되는 시간의 연속이었다.
 
 
<바리톤 부크하르트 폰 푸트카머 초청 콘서트-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는 행사가 개최된 호텔에서 설립한 크리에이티브 퍼포먼스 팀에서 를 기획하여 이루어진 7번째 공연이다. 오로지 슈베르트의 겨울나그네만을 탐구해 온 독일의 낭만 가객 바리톤 부크하르트 폰 푸트카머의 첫 내한 공연으로 12 22일 저녁 8시에 진행되었다.
 
 
24곡으로 구성된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를 독일에서 온 바리톤 부크하르트 폰 푸트카머의 단독 공연으로 무대에서 만나볼 수 있었는데 이전 프리뷰 포스팅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이번 공연이 타 바리톤 공연과 다르게 이색적인 이유는 바로 도전역발상에 있다라는 점이다.
 
 
그는 그린란드, 남극 빙산 앞, , 광산, 지하철역 등 보통의 공연 장소로 생각하기 힘든 장소들을 무대 배경으로 삼아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를 표현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도전들을 통해 클래식 공연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는 아티스트 중 하나다.
 
 
이번 내한 공연 또한 차갑고도 시린 겨울 풍경을 배경으로 삼아 품격 있는 공연으로 진행되었으며 중후하지만 무겁지 않은 바리톤 특유의 음색을 향유할 수 있었던 자리였다. 지면 인터뷰에 따르면, 이번 내한 공연은 외로운 겨울 나무를 담은 설경을 중심으로 시-청각 이미지를 전달했다고 하는데 실제 나그네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다룰 수 없는 점을 모자를 쓰고 긴 블랙코트에 오래된 여행가방을 메고 스카프를 바닥에 놓는 등의 퍼포먼스로 묘사했다고 한다.
 
 
90여분 동안 쉴 틈 없이 진행된 무대는 이방인의 여정을 그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보여줬는데 개인적으로 남기고픈 곡은 바로 20번째 곡인 이정표. (실제 그는 24곡 중 1안녕히 11봄의 꿈그리고 20번째 이정표를 가장 좋아한다고 하였다.)
 
 
 
 
20. 이정표
 
도대체 왜 난 다른 여행자들이 다니는 큰길을 피해,
눈 덮인 절벽 위에서
숨은 오솔길을 찾는 것일까?
난 사람들을 피해야 할만한
아무런 짓도 저지르지 않았는데, -
어떤 어리석은 갈망이
나를 황야로 몰아넣는 것일까?
이정표들은 길 위에 서서
도시들을 가리키고 있고,
나는 한없이 방랑하네
쉬임 없이, 쉬기를 갈구하며,
이정표 하나가 내 앞에 서서
나의 시선을 붙잡네.
아무도 돌아본 적이 없는,
그런 길을 난 가야만 하리.
 
(독일어가 원작, 영어로도 번역되어 있으나 이해하기 쉽게 한글 번역본을 올려봅니다)
 
 
 
19세기나, 지금 현대 산업사회나 결국 인간은 방랑자와도 같은 존재다. 봄이 가면 겨울이 오고, 절망 속에서 또 다시 행복을 찾으려 하고, 그 안에서 여전히 우리는 각자의 길을 가야 하는 그런 존재 말이다. 각자의 삶, 방랑자의 모습을 바리톤 부크하르트 폰 푸트카머는 ‘Life-Performance’로 그리고 그의 목소리로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를 통해 우리에게 인생의 예술적 의미를 찾기를 바라는 듯 하였다.
 
 
하얀 설경 위에 고독한 젊은이. 그리고 그 여정을 함께 했던 <바리톤 부크하르트 폰 푸트카머 초청 콘서트-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는 시적-청각적 향연으로 남은 연말을 더 풍성하게 만들어 주었다. 기회가 된다면, 다음 공연에도 함께 하고 싶은, 화려한 파티와 직접 인사 나누며 만날 수 있는 아티스트, 멋진 관객들이 함께 한 공연 리뷰는 여기서 마무리 짓고자 한다.
 
 
 
* 이 글은 아트인사이트(www.artinsight.co.kr)과 함께 합니다.
 
 
 
[오윤희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5.01.17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