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sight

아트인사이트에게
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칼럼·에세이

 

 

지난 4월 13일,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지브리 페스티벌이 열렸다.

    

 

KakaoTalk_20250420_203654214_02.jpg

 

 

이번 지브리 페스티벌은 총 2부로 진행되었는데, 1부에서는 지브리 스튜디오의 OST에 클래식을 접목한 편곡을 선보였다.

 

<이웃집 토토로>의 ‘바람이 지나가는 길’은 드뷔시 스타일의 편곡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언제나 몇 번이라도’는 비발디 스타일로 편곡하여 더욱 풍성한 선율을 자아냈다. 이 외에도 쇼팽, 리스트, 드뷔시와 지브리 스튜디오의 만남은 특유의 아련하면서도 신비로운 분위기를 더욱 진하게 만들었다.

 

연주와 연주 사이, 송영민 피아니스트의 해설은 자칫 멀어 보일 수 있는 클래식과 지브리 OST를 연결하는 다리가 되어주었다. 어떤 의도로 편곡이 되었는지, 연주의 어느 부분에 집중해야 할지에 대한 해설을 듣고 난 후, 알고 듣는 음악의 맛을 느낄 수 있었다. 피아노와 바이올린 독주뿐 아니라 평소에 쉽게 들어볼 수 없는 하프와 호른의 아름다운 솔로 연주가 감명 깊게 남았다.


새로운 곡이 연주되기 시작하면, 무대 가운데 위치한 스크린에서 지브리 애니메이션이 짧게 재생되었다. 이는 순식간에 연주에 집중하게 만들었다. 시각과 청각의 동시적 만족은 단순히 음악을 듣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온몸으로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롯데콘서트홀’이라는 장소 역시 한몫했다. 이전에도 오케스트라 공연을 본 적은 많았지만 ‘공간감’이라는 것을 느껴본 공연은 처음이었다. 악기마다의 고유한 음색과 세밀한 소리 하나하나까지 듣고 있자니 정말 황홀함 그 자체였다.

 

연주에 몰입한 현악기 연주자들의 활 움직임이 하나의 군무처럼 보인다는 점도 독특한 인상으로 남았다.

 


KakaoTalk_20250420_203654214_01.jpg

 

 

2부에서는 해설 없이 지브리 스튜디오의 OST 그대로를 선보였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벼랑 위의 포뇨>, <이웃집 토토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 <마녀배달부 키키>, <원령공주>, <천공의 성 라퓨타>의 OST들이 차례로 흘러나왔다.

 

가만히 눈을 감고 공연에 집중했다. 아름다운 오케스트라의 선율들은 나를 어린 시절로 데려다주었다. 바닷가에서 포뇨와 마주치기를 기대하던, 시골 할머니 댁에 가면 토토로를 만나 고양이 버스를 탈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던 그때로 말이다.

 

나도 모르게 눈물이 고였다. 지브리 애니메이션을 처음 보았을 때의 감정과 어린 시절에 대한 향수가 밝지만 어딘가 슬픔이 묻어나는 멜로디와 이리저리 뒤엉켰다.


공연이 끝나고 알 수 없는 마음의 울렁거림에 한동안 생각에 잠겨있었다. 이 여운을 간직하고 싶어서 이어폰으로 지브리 OST를 틀고 석촌호수를 거닐었다. 지브리의 음악은 어린 나에게 꿈꾸게 했고 어른이 된 지금은 노스탤지어를 느끼게끔 해주었다. 내가 이날 느꼈던 뭉클한 감정을 오롯이 글로 담아낼 수 없다는 것이 답답하고 아쉬울 뿐이다.

 

지브리 애니메이션에는 희망이 있다. 언젠가 다시 만날 수 있을 거란 희망, 언젠가 좋아질 거라는 희망 말이다. 쉽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이 희망을 놓지 않는 주인공의 모습에 마음 한 편이 찡해지는지도 모르겠다. 이번 지브리 페스티벌은 내가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느꼈던 희망, 사랑, 용기를 연주만으로 다시 떠올리게 했다.

 

나처럼 지브리와 함께 시간을 보냈던 모든 이들에게 이날의 공연이 각자만의 감정을 충분히 느낀 소중한 시간이었길 바란다.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