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그림책을 만들어보고 싶었지만 그 방법을 알지 못해 시도하지 못하였다. 윤나라, 이서연 작가의 <그림책 작가와 함께하는 그림책 만들기 7단계>는 이러한 상황에 부닥친 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책이었다.
책은 그림책의 구상 단계부터 창작 단계까지의 모든 것을 알려주며 우리가 직접 해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작가끼리 대화하는 부분과 독자들에게 생각할 시간을 주고 생각하게 하는 부분, 그것을 실천으로 옮기도록 하는 실천 과제가 마련되어 있어 차근차근 그림책을 완성해 갈 수 있었다.
특히 내가 잘 몰랐던 그림책의 구성이라든가 글과 그림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 그림책을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다.
책의 1단계는 ‘그림책 심기’이다. 첫 번째 단계이니만큼 책에서는 그림책이 무엇인지, 그림책을 구성하는 책의 요소, 그림책을 이룰 책의 소재 등을 다루고 있다. 그림책은 그림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크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림과 글의 관계를 다루며 그림책이 ‘책’으로 기능하기 위해선 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글과 그림이 잘 어우러진 그림책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더불어 지금까지 재밌게 읽었던 그림책을 떠올려봤는데 그림뿐만 아니라 그림책의 이야기 또한 흥미로웠던 게 대부분이라 나는 어떠한 이야기를 그림책에 담아야 할지 고민해 볼 수 있었다.
책의 2단계는 ‘아이디어 심기’이다. 이야기가 시작되기 위해선 무엇보다 소재와 주제가 중요하다. 소재는 이야기의 시작이고 주제는 이야기의 중심이라 생각한다. 아이디어를 가졌지만 그것을 이야기로 싹틔우지 못하는 사람, 이야기를 하고 싶지만 이야기의 주제가 없는 사람에게 필요한 말이 적혀 있어 흥미로웠다.
이어진 3, 4단계에서는 이야기를 가꾼다. 이야기는 결국 사람의 삶을 다루고 있다. 그것이 아동문학이든 순수문학이든 시나리오나 시이든 모든 것은 사람으로 귀결된다. 그렇기에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인물의 중요성이 두드러진다. 인물이 살아 움직이도록 만들어야 이야기가 흐르기 때문이다. 소설의 기본 요소인 인물, 시간, 공간, 사건이 그림책 내에서도 기본 요소로 작용하여 이야기를 이어지게끔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단계가 진행될수록 이야기의 생명을 불어넣고 이야기가 진행되도록 도와주는 책이어서 도움이 되었다.
5단계는 ‘스토리보드 줄기 잡기’이다. 여기서는 특히 ‘더미북’과 ‘분량’에 대한 서술이 적혀 있어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림책 공모전을 준비할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더미북’이다. 그러나 어디에서도 더미북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설명해 주지 않아 공모전 준비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책에서는 그림책에 관한 모든 걸 알려주기 때문에 몰랐던 걸 알게 되는 시간이라 유익했다. 또한 그림책의 분량에 대해서 작가들의 대화를 삽입하며 실제 작가의 조언을 듣는 게 흥미로웠다.
점점 그림책의 갈피가 잡히고 6, 7단계에서 그림책을 꽃피우게 된다. 사실 ‘그림’책이니만큼 그림에 대한 기본 지식과 드로잉은 어느 정도 필요하다. 나는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지만 단계별로 천천히 도와주는 책 덕분에 한 걸음 내디딜 수 있었다. 목차별로 연계되는 그림책 창작 방법 덕분에 모르는 것도, 어려운 것도 해결할 수 있어 감사한 마음이었다.
<그림책 작가와 함께하는 그림책 만들기 7단계>는 그림책을 창작하고픈 이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책을 마음껏 창작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