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inion] 니키 리, 변화하는 정체성을 말하다. [미술/전시]
-
니키 리, 변화하는 정체성을 말하다.
이전 서도호에 대한 오피니언에서 언급했듯, 전지구화와 초연결로 대변되는 동시대 미술에서 유목적(Nomadic) 특징은 이제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
특히 정체성의 문제는 동시대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는 미술가들의 공통된 과제이며, 이들은 이동의 삶을 전제로 다양한 관계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각자의 대답을 내놓는다.
서도호가 자신의 정체성을 장소와 공간의 기억의 중첩으로 표현해내었다면, 오늘 소개할 니키 리는 변화하는 자신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작가이다.
〈히스패닉 프로젝트〉(1998), 《프로젝트(Project)》(1997-2001)
본명 이승희(1970-). 활동명 ‘니키’는 뉴욕 패션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상업 사진을 공부하며 사진가 데이비드 르샤펠(David Leachapell)의 조수 자리에 지원할 당시 보그 잡지를 뒤적여 찾은 패션 모델 니키 테일러(Nikki Taylor)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이름에서도 드러나는 새로운 정체성으로서의 작가는 정체성에 대한 탐구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니키의 작업과도 맞닿아 있다.
1997년 〈드랙 퀸 프로젝트(The Drag Queen Project)〉를 필두로 이어진 니키의 초기 작업 《프로젝트(Project)》(1997-2001) 시리즈는 예술가로서의 니키 리를 널리 알린 대표적 작품이다.
프로젝트 사진 속에서 니키는 레즈비언(1998), 히스패닉(1998), 노인들(1999), 한국 여고생(2000), 힙합갱(2001) 등 다양한 사회적 층위와 계급, 성적 취향, 직업, 연령과 국적을 넘나들며 이들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등장한다.
〈노인 프로젝트〉(1999), 《프로젝트(Project)》(1997-2001)
〈히스패닉 프로젝트〉(1998), 《프로젝트(Project)》(1997-2001)
〈댄서 프로젝트〉(2000), 《프로젝트(Project)》(1997-2001)
〈레즈비언 프로젝트〉(1998), 《프로젝트(Project)》(1997-2001)
〈여피 프로젝트〉(1998), 《프로젝트(Project)》(1997-2001)
〈여고생 프로젝트〉(2000), 《프로젝트(Project)》(1997-2001)
위 작업물에서 알 수 있듯, 단 몇 개의 사진만으로 특정 공동체(혹은 공간)와 니키 리를 완전히 분리하기는 힘들다. 우리는 수어 개의 사진을 스크롤한 이후에야 완전히 다른 공간에서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분장한 니키 리를 찾아낸다. 사진 속에서 공동체와 이질적인 니키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어떻게 이러한 표현이 가능했을까?
마치 극단의 배우처럼 변화무쌍한 정체성을 표현한 《프로젝트(Project)》 시리즈에는 어린 시절 배우가 되고 싶었던 어린 이승희의 모습이 담겨있다.
니키는 자신의 모습을 집단에 동화시키기 위해 염색, 의상과 장신구 준비, 몸무게 조절, 태닝 등을 마다하지 않았고, 더하여 스윙 댄스, 봉춤, 스케이트와 같은 특정 활동을 배우기에 이르렀다. 다양한 문화, 인종, 연령, 성을 넘나들며 정체성을 ‘체득’한 것이다. 관람자는 단순히 찍힌 사진 한 장을 볼 뿐이지만, 그 안에는 또 하나의 체득된 니키 리가 녹아있다.
수주에서 수개월에 달하는 준비 과정을 마치면 니키는 집단의 일원들에게 자신의 정체와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당신들과 함께 어울리고자 한다 밝힌다. 실제 〈노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당시, 니키와 수개월을 함께 보낸 노인들은 자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작가라 주장하는 니키를 조금 미치거나 아픈 여자로 생각했다고 한다.
그렇게 일정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며 그들의 일원이 된 니키의 모습은 제3자(집단 속 다른 사람, 지나가는 행인)에 의해 스냅 사진기로 촬영되어 완전히 아마추어적인 결과물로 남는다. 섬세한 준비 과정을 통해 특정 집단에 동화된 모습으로 니키가 보여주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노인 프로젝트〉(1999), 《프로젝트(Project)》(1997-2001)
〈힙합 프로젝트〉(2001), 《프로젝트(Project)》(1997-2001)
니키 리의 《프로젝트(Project)》에는 프로젝트의 총괄 디렉터이자 행동하는 주체로서의 작가와 주체성을 내어주고 찍히는 대상으로서의 작가가 공존한다. 학습되지 않은 제3자가 찍은 비연출의 스냅 사진은 특정 집단에 대한 작가의 체험과 리얼리티에 다큐멘터리적인 진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그룹의 일원들과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동화된 작가를 프로젝트가 표방하는 정체성에 무리 없이 끌어들인다.
니키 리의 《프로젝트(Project)》는 시각적인 정체성은 근본적으로 가변적이고 유동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것이 오래 지속된 것이든, 일정 기간동안 체득한 것이든, 단순 모방이든 간에 말이다.
작가는 자신 안에 많은 성격들이 존재하는 것을 느끼며, 나 자신을 바꾸는 것 또한 정체성의 일부라 말한다. 결국 니키 리의 《프로젝트(Project)》 는 특정 집단에 속해 그들을 묘사하며 되돌아오는 자신의 정체성을 설명하고 있는 셈이다.
더불어 이러한 니키의 작업들은 관람객의 정체성을 재규정할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누군가는 사진 속 니키 리를 완전한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식하는 반면, 누군가는 특정 공동체에 끼어있는 동양인 여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니키의 사진을 통해 일상을 찾기도 하고 차이를 보기도 한다. 이는 단순한 관람에 있어서도 개인의 정체성이 발현됨을 의미하며, 이러한 과정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자신이 규정하는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게 한다.
초연결의 시대에서 정체성의 문제는 날로 복잡해지는 듯 보인다. 하지만 어떤 정체성도 정체하지 않는다면, 이제 정체성은 선택의 문제가 된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정체성을 무겁고 힘들게 생각할 필요가 있을까? 정체성은 유기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그러니 사람들을 공격할 필요도 없는 거고, 이렇다 저렇다 후진 얘기를 할 필요도 없다. 내가 이렇게 속이는데 너희는 뭘 그렇게 한 모습에 집착하니?라는 의도가 있다. 사람은 그렇게 간단하거나 단순하지 않다.”] - BAZAAR 2021년 8월호 인터뷰
*참고 자료
이지은, 「정체성의 장소: 니키 리의 〈프로젝트〉 시리즈에 대한 재고 재고」(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박의령, "니키 리는 아티스트다", BAZAAR, 2021.08.21.
[김윤비 에디터]<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위로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