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ew] 욕심 많은 연극, 봉장취

글 입력 2016.10.29 18:15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어른을 위한 동화라고들 하는 작품이 있다. 대표적으로 <어린왕자>가 그렇다. 분명 동화지만, 아이들에서부터 세상의 때가 묻은 어른들의 가슴까지도 울릴 만큼의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굳이 <어린왕자>와 같은 대작이 아니더라도 여우와 신포도와 같은 이솝우화, 그리고 우리의 전래동화들이 그러하다. 이 이야기들은 여전히 우리의 일상 속에서 또 다른 비유가 되기도 하고, 교훈을 전해주기도 하며 여러 문화예술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때문에 비유는 위험하다. 다양한 문화예술 속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흔히 등장하는 장치이기는 하지만 수용하는 입장에서 쉽고 편하게 다가오기 때문에 한 번 그것에 공감하기 시작하면 헤어 나올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번에 소개하고자 하는 음악극 <봉장취>에서 보여줄 그러한 비유가 기대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2016봉장취_포스터_A2_420mmx594mm.jpg
 


시놉시스

내 눈 앞에 다양한 새들이 나타났다!
전통악기와 만난 새들은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까?


첫 번째

사하라 사막에 가는 꿈을 꾸는 뻐꾸기
어릴 적 우연히 제비아저씨에게 
사하라 사막에 다녀온 이야기를 듣게 된
‘뻐꾸기’는 꿈이 생겼다.
그것은 바로 사하라 사막에 가겠다는 것!

매일 사막을 꿈꾸며
어느덧 어엿한 숙녀로 자라게 된 뻐꾸기는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아기 새를 갖게 되었다. 
어른이 된 뻐꾸기는 꿈을 이루기 위해 
아기 새를 돌봐줄 다른 새들을 만나지만
사정이 여의치가 않다. 
과연, 뻐꾸기는 자신의 아기새를 맡기고
오랜 꿈을 이룰 수 있을까? 


두 번째

세상에서 제일 큰 새, 슈빌
평소 걸어 다니던 넓적부리황새 ‘슈빌’은 
새라고 하기엔 키가 115센치에 달하는
너무 큰 외모를 가지고 있다.

참새와 함께 방앗간에서 놀기 위해 날려고 하지만
 날개가 있어도 슈빌은 날지 못한다. 
날 수가 없는 것인지 나는 방법을 모르는 것인지..

혼자 쓸쓸히 남은 슈빌은 다른 새들처럼 날기 위해 
산을 올라가기 시작하고
그곳에서 다양한 동물들을 만나게 되는데…
과연 세상에서 제일 큰 새 슈빌은
진짜 자신의 모습을 찾을 수 있을까?



IMG_4944.JPG

 
 사하라 사막에 가고 싶은 뻐꾸기와 세상에서 제일 큰 새 슈빌이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봉장취>. 시놉시스에서 알 수 있듯이 이번 공연의 두 주인공이 이끌어 나갈 스토리는 기존 동물을 등장인물로 한 문화예술들보다 한층 구체적이고 자세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다. 때문에 이전에 비해 복잡해진 오늘날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한 편의 새로운 어른들을 위한 동화’로 다가오지 않을까 싶다. 

 <봉장취>가 기대되는 데에는 또 한 가지 이유가 더 있는데, 바로 봉장취라는 제목과 관련이 있다. ‘봉장취’는 본래 봉황에 대한 재담과 함께 음악을 연주하던 우리의 전통음악이라고 한다. 지금은 이야기는 사라진 채 음악만이 전해지는데 이 음악을 토대로 새 이야기를 창작해 전통악기와 버무려 낸 것이 음악극 <봉장취> 이다. 우리네 음악을 바탕으로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연극을 통해 관객들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것이다.  
 

IMG_4515.JPG

 
 매년 한글날 새로운 한글 폰트를 만들어 무료로 배포한다고 하는 <배달의 민족> 대표가 한 인터뷰에서 말하길, 우리의 것이라서가 아니라 그 자체만으로도 가치가 있어야 오래도록 우리의 것이 사랑받을 수 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이 말에 전적으로 동감한다. 우리의 것, 우리의 전통을 이어나가야 한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우리의 전통은 곧 우리의 정신과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신과 정체성이라는 추상적인 존재는 변화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무시한다면 아무리 전통이라고 할지라도 사람들의 마음을 울릴 수 없고 존속하기 어렵지 않을까. 우리의 것이지만 어찌됐든 과거의 것인 채 남아있다면 살아남는데 한계가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봉장취>는 전통에 현대를 담아내는 하나의 그릇으로써 시도만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와 어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동화 같은 공연, 동시에 전통이라는 틀에 현대인의 정서를 담아내는 공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싶어 하는 음악극 <봉장취>. 과연 그들의 욕심이 과연 공연에 얼마만큼 잘 반영되어 있을지 궁금해진다. 




16012916-02.jpg




반채은.jpg
 

[반채은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04.16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