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Solid vs Fragile [갤러리JJ]

글 입력 2016.06.29 21:20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글 스크랩
  • 글 내용 글자 크게
  • 글 내용 글자 작게


Solid vs Fragile
- 윤지원 ∙ 조이경 -


download.jpg
 




Solid vs Fragile
- 윤지원 ∙ 조이경 -


일자 : 7. 7(목) – 7. 30(토)

시간 : 화-금 (Tues-Fri) 11:00 am - 07:00 pm
토, 일, 공휴일(Sat, Sun, Holiday) 12:00 pm - 06:00 pm
월요일 휴관 Closed on Mondays

장소 : 갤러리JJ

주최 : 갤러리JJ




문의 : 02 322 3979





<상세정보>

download (1).jpg
 
조이경 Apples and Pears 50X30cm c-print 2009 

download (2).jpg
 
윤지원 산클레미오광장 100x80cm oil on canvas 2013

우리는 늘 수없이 많은 이미지를 본다. 그리고 세상에는 보이는 것, 아는 것들이 많다. 현대철학자인 자끄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에 따르면, 예술은 이미지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이미지는 어떤 간극, 비-유사성을 산출하는 조작이다. 예술의 재현적 체계는 “말할 수 있는 것과 볼 수 있는 것, 볼 수 있는 것과 볼 수 없는 것의 관계들이 이루는 어떤 체계의 체제”다. 이미지를 본다는 것, 그리고 이미지의 실체는 예로부터 늘 많은 예술가들과 사상가들의 관심의 대상이었다. 회화 이미지가 동시대에 보여지는 다양한 방식을 생각해보면, 컴퓨터 화면으로 혹은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보는 회화 이미지는 안료를 넘어서서 빛과 픽셀로 이루어진 전혀 다른 이미지를 보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질문으로 넘어가게 된다. 갤러리JJ에서는 이러한 관심사를 두고서 두 명의 작가와 함께 회화, 사진, 영상으로 이루어진 전시를 마련하였다. 이들의 이미지들은 우리의 시간과 기억으로 단단한 세상을 열어 보이거나, 혹은 어설픈 의미연결보다 표면 그대로의 ‘보기’를 요청한다.
윤지원Yoon Ji-won은 회화 고유 매체에 충실하면서 내면의 감정으로 세계를 구축하는 한편, 조이경은 회화와 영상, 사진 이미지들에서 각각의 고유의 미디엄(medium)을 자유로이 상호교차하고 중첩시키는 작업을 통해 이미지의 재생산이라는 결과물로써 결국 우리의 시지각에 관하여 질문한다. 윤지원의 작업에서 안료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작가의 시선으로 세상을 알맞게 재단하고 구성시킨 재현된 이미지 속으로 우리를 이끈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안료 너머, 리메이크된 작가의 기억과 마주하는 것이며 그 안에서 우리의 시선은 안주한다. 이탈리아에서 회화를 전공한 윤지원은 고독과 긴장감을 화면에 표현하며 대체로 구조적인 완결성과 긴장감의 구도를 보여준다.
 “항상 빛과 그림자가 흐르는 벽에 끌린다. 빛과 그림자가 만들어 내는 그늘의 회색지대, 그 공허하고 텅 빈 공간이 전해주는 무한한 이야기가 흥미롭다. 밀라노의 골목길을 걷다 보면 오래된 건축물과 길들 속에서 수많은 역사와 그 역사의 무게를 느낄 수 있다… 나는 도시인으로 살아가면서 마주하는 일상에서 고독의 의미를 되짚어본다.”  -윤지원 작가-
오늘날 회화에서 이미지는 단순히 유사성을 추구하는 의미에서의 재현적 리얼리티가 아니라 보다 깊은 의미에서 세계의 진실을 나타내는 리얼리티라는 것은 이미 알려진 바다. 이미지는 더 이상 복사본이나 번역이 아니다. 보이는 것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과의 마주침, 그것이 도시와 현대인들의 고독, 혹은 공간과 장소의 그림자가 주는 멜랑콜리함, 한편 알 수 없는 텅 빈 색채와의 조우일 수 있다. 다소 억압적인 구성과 반복의 붓질이 주는 매끄러운 공간. 랑시에르의 말처럼 이미지란 사물 자체가 말하고 침묵하는 방식임을 윤지원의 화면에서 발견하고 싶어진다. 
조이경Cho Yi-kyung은 이미지의 실체에 주목한다. 이미지를 본다는 것은 빛이 있어 가능하다. 조이경은 주로 가시적인 빛을 실험하여 빛에 따라 다르게 포착되는 이미지를 여과 없이 관객에게 보여주는 방식의 작업을 해온 미디어작가다. 그녀는 독일에서 공부하였고, 영상 및 사진 작업은 물론 꾸준히 회화 이미지를 고찰해오고 있다. 
“회화란 본질적으로 사각의 캔버스 위에 칠해져 존재하는 피그먼트들의 이미지라고 생각한다. 캔버스 위에 재현된 이미지에서 의미를 찾는 것보다 공간의 벽에 걸린 사각의 프레임과 그 위에 존재하는 피그먼트들에 반응하는 행위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  -조이경 작가-
작가는 회화의 전통적 미디엄인 안료를 현실공간에 프로젝션하여 빛으로 바꾸거나 이를 다시 사진으로 대체하여 안료를 올리거나 한다. 회화적 이미지를 현대의 다른 미디엄으로 변환, 재생산하려는 이와 같은 시도는 동시대에서의 회화 이미지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 보인다. 즉, 회화 평면의 2차원적 공간에서부터 현실공간에 투영된 빛으로 빚어내는 3차원 이미지, 다시 사진으로 픽셀화되어 조합된 새로운 이미지의 경험이다. 시간에 따른 변화된 이미지들이 겹쳐서 탄생한 <정물still life>, 이들 정물화는 더 이상 정지-still-된 사물이 아니다. 이는 곧 작업으로 이어진다. 그 안에는 시간이 겹겹이 중첩되어 있으며 작가의 말대로 “보이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가상과 현실 공간의 애매한 경계를 구현하는 영화 이미지들의 꼴라주 작업에 이어 새롭게 신작으로 나온 사진 연작 <찍을 수 있었던 사진 / 찍을 수 없었던 사진> 시리즈는 오늘날 떠도는 이미지 유희의 대표적 경향인 SNS에서 선택된 불연속적인 이미지의 조합물이다. 
조이경의 작업에 있어서 빛이라는 비물질성의 개입으로 말미암아 이미지가 가리키는 것은 실제의 모호한 영역이자 허망한 현존에 다름 아니다. 또한 새로운 이질적 공간으로 나타나는 이미지는 무매개적으로 충돌하는 것들의 몽타주로서, -하지만 이러한 양립 불가능한 것들의 마주침은 폭로하고 충돌하면서 결국 다른 질서를 드러내는 등 서로 공통의 세계를 창출해나간다- 그 불안정한 세계의 소환은 우리가 보고 있는 것들과 알고 있는 것들의 실체를 때로는 명료하게 혹은 의구심을 갖고 바라보게 만든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시간과 공간들의 조작되고 전복된 이미지들, 우리의 기억은 믿을 만한 것이 못되며 우리는 그것들에서 애초부터 잉태된 본질적 위태로움 속에 살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작가는 오히려 이러한 깊이를 가지지 않는 표면 그 자체를, 의식하기보다 그냥 원초적인 ‘보기’를 우리에게 권유하고 있는 듯 하다. 마치 고다르Jean-Luc Godard가 자신의 영화에서 ‘보는 것’이 ‘생각하는 것’에 앞설 때 비로소 진실한 세상과 사물을 볼 수 있다고 한 것처럼 말이다.
전시를 통하여, 보이지 않은 것들의 단단함, 오히려 우리에게 명멸하며 불연속적으로 쏟아지는 보이는 것들의 한없는 나약함이 아이러니할 지도 모른다. 



(글 강주연/ GalleryJJ Director)



[나유리 에디터]



<저작권자 ⓒ아트인사이트 & www.artinsigh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등록번호/등록일: 경기, 아52475 / 2020.02.10   |   창간일: 2013.11.20   |   E-Mail: artinsight@naver.com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형주   |   최종편집: 2024.03.28
발행소 정보: 경기도 부천시 중동로 327 238동 / Tel: 0507-1304-8223
Copyright ⓒ 2013-2024 artinsight.co.kr All Rights Reserved
아트인사이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